인천 인구의 28% 50·60대 '신중년'…전문인력 양성 일자리사업 본격화

인천시 신중년 일자리사업 '어르신 돌봄 파트너' 양성 교육 [사진= 인천시]

인천시 신중년 일자리사업 '어르신 돌봄 파트너' 양성 교육 [사진= 인천시]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인천시가 인천 전체 인구의 28%를 차지하고 있는 50대·60대 '신중년'층을 위한 일자리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우선 50세 이상 퇴직 전문인력 40명을 대상으로 '모두 Zone(좋은) 신중년 일자리사업'을 시행한다.

인천고령사회대응센터의 '앙코르커리어 과정'과 연계,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수요처에 배치해 지역사회에는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참여자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장난감 수리 전문가, 어르신 돌봄 파트너 등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평생학습관·도서관·보육원 등에 배치할 계획이다.


신중년(新)이 즐거운(樂) 마을(院)이라는 뜻의 '신낙원 인천' 사업도 인천경영자총연합회와 함께 추진한다.

50세 이상 구직자 130명을 대상으로 지게차 운전자격 취득 지원 등 직무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150개사 참여기업 네트워크를 활용해 좋은 일자리를 발굴·지원한다.


생계형 일자리 구직보다는 사회공헌 활동에 더 관심이 있는 퇴직자를 대상으로는 '신중년 사회공헌 활동 지원사업'을 진행한다. 퇴직 전문인력 100명을 선발해 재정구조가 열악한 비영리단체, 공공기관, 사회적기업 등에 배치할 계획이다.


참여자에게는 식비와 교통비 등 활동 실비를 지원한다. 고용노동부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돼 '일터와사람들'이 사업을 수행한다.


시는 또 민선7기 공약사항의 일환으로 제조업 중소기업에서 만 60세~64세 이상 정년퇴직자를 지속적으로 재고용하는 경우, 근로자 1인당 월 30만원을 1년간 사업주에게 지원하는 '고용연장 지원금 사업'도 추진한다. 올해 200명에게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천시는 신중년 일자리정책 전담 조직 신설을 추진하며, 중장기적으로는 인천 신중년 세대의 인식조사와 구인·구직 수요 등 통계조사를 실시해 지역 실정에 맞는 지원 정책을 발굴할 방침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인천의 신중년은 82만 9000여명으로 전체 인구의 28%를 차지하고 있다.


전국의 고령인구 비율은 14.3%, 인천은 12.3%로 전국 평균대비 낮으나 고령사회에 진입했고, 베이붐세대(1955년~1974년)의 경우 14.51%로 전국 평균(14.12%)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신중년은 기존 65세 이상의 노인세대와는 달리 사회참여나 재취업, 공헌활동 등을 위한 뚜렷한 인식과 잠재적 역량은 갖췄으나 지원책은 미비한 실정"이라며 "신중년 세대들만의 창업공간 마련 등 다양한 일자리 창출과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