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평화·정의, 이틀째 농성…‘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촉구

文대통령·민주당·한국당, 결단해야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춘한 기자]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촉구하는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야 3당은 5일 국회 로텐더홀에서 이틀째 농성을 하며,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의 결단을 촉구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이날 "연동형 비례대표제, 대통령이 약속했고 여당의 대표도 약속했다“며 ”'우리가 손해를 좀 보더라도 가야될 길'이라고 말했는데, 왜 지금 와서 다른 말을 하는가”고 비판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께서는 이제 국민의 뜻을 제대로 받아들여서, 민주당이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결단을 내려달라”고 덧붙였다.손 대표는 “민주당과 한국당이 결단해야 한다”며 "‘예산안과 선거구제 개편을 연계하는 일이 어디 있느냐’고 하는데, 우리는 선거구제 개편이 아닌 선거제도의 개혁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이해찬 민주당 대표가 정치를 30년 하며 예산과 선거제도를 연계시키는 것을 처음 보았다고 하는데 그것은 무지이거나 오만"이라고 지적했다.

정 대표는 "1989년 예산은 5공 청산에 연계해 투쟁했고, 1991년 예산은 지방자치 선거제도 관련 선거법에 연계시켜 야당이 관철해냈다"며 "그것은 선거제도가 아니고 무엇이냐"고 강조했다.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내년 4월 선거구제 획정 시일을 앞두고 시간이 없기 때문에 12월 정기 국회 내 처리를 요구하는 야3당에, 예산안을 연계해 되지도 않을 일을 한다는 식으로 비난을 일삼는 것이 집권정당이 할 일이냐"고 날을 세웠다.

이 대표는 "핵심 공약 수행을 위해 여기 앉아 농성해도 모자랄 판인 민주당 의원들은 모두 뒷짐을 지고 선거제도 개혁은 안 될 일인 것 처럼 부정적 기류나 퍼뜨리고 있다"며 "자기 당 공약을 자기 당 의원들이 스스로 부정하는 상황을 몇 개월 째 방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