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北, 풍계리 핵실험장 외부 참관 준비…탈정치·탈권력 전문정보기관으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춘한 기자] 국가정보원은 31일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의 외부참관단 방문에 대비한 준비활동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내곡동 국정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정보위 여당 간사인 김민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야당 간사인 이은재 자유한국당 의원이 언론 브리핑을 통해 말했다.국정원은 "북한 핵·미사일 관련 시설을 정밀 추적 중으로, 북한이 비핵화 선행 조치로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쇄하고 동창리 미사일 시설을 일부 철거한 가운데 외부참관단 방문에 대비한 것으로 보이는 준비 및 정보활동을 하는 것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의 행동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영변 5MW 원자로를 비롯한 핵·미사일 시설을 면밀히 주시 중이며, 현재 큰 변화는 없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정보 절취와 금전 탈취를 위한 해킹을 지속하고 있으며, 특히 사회적 현안을 소재로 해킹 메일을 유포하거나 외화벌이를 위해 국내외 컴퓨터를 해킹해 가상통화 채굴에 활용하고 있다고 보고했다.국정원은 "남북 긴장 완화 속에서 대북 조기 경보태세를 유지하는 한편 본격적인 비핵화에 대비해 핵·미사일 관련 시설에 대한 정밀 추적과 함께 핵·미사일 검증과 폐기를 위한 정보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최근 2년간 첨단기술 해외 유출사건 총 40건을 적발했으며, 이중 중국으로의 유출이 28건으로 70%를 차지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국정원이 작년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총 40건의 첨단기술 해외 유출사건을 적발했는데, 이 중에는 해외 유출 시 국가 안보와 국민 경제에 특히 영향을 미치는 국가 핵심 기술도 7건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지난 1년간 정치관여 소지가 있는 조직과 기능을 폐지하고 준법, 예산 통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부단한 쇄신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그 결과 대북은 물론 방첩, 대테러 등 국익 활동에 전념하는 탈정치, 탈권력의 전문정보기관으로 뿌리내리고 있다”고 밝혔다.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