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전국 학교 '농구공' 조사 대소동, 알고보니…

지난주부터 교사들 농구공 숫자·브랜드 조사 지시 받아...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정감사' 자료로 요구...교사들 "무분별한 국감 자료 요구 근절되야" 반발

농구공. 자료사진. 기사와 관련이 없음.

농구공. 자료사진. 기사와 관련이 없음.

원본보기 아이콘

단독[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지난주부터 전국 각급 학교에서 일고 있는 농구공 브랜드 조사 소동은 국정감사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11일 일선 교사 및 국회 신창현 의원실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ㆍ도 교육청은 지난 주 일선 학교에 일제히 '긴급' 표시가 된 공문을 보내 보유한 농구공 숫자와 브랜드 종류를 파악해 보고하라고 요청했다. 교사들은 최근 끝난 중간고사 마무리 등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영문도 모른 채 체육관 등에 보관된 농구공들을 일일이 꺼내 숫자 및 브랜드 종류를 조사하고 보고서를 작성해야 했다.알고 보니 이같은 소동은 신 의원실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비롯됐다. 신 의원실은 일부 브랜드 농구공 표면에서 납 등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를 입수한 후 각급 학교가 이 농구공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 지 조사, 국감에서 문제 제기하기 위해 자료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신 의원 측이 이같은 조사 취지를 시ㆍ도 교육청에만 설명했을 뿐 일선 학교에 내려 보낸 공문엔 적시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국회의원의 국정감사 자료 요구는 위원회 의결을 거치도록 돼 있는 국회법 제128조를 어겼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일선 교사들은 "안 그래도 잡무에 바쁜데 웬 농구공 브랜드 조사냐"며 강력 반발했다. 한 교사는 소셜네트워크에 글을 올려 "국회의원들이 교사들을 국민이라고 생각한다면 왜 이 요구 자료가 필요한 지 쯤은 명시했으면 한다"며 "어떤 법을 만들기 위한 것인지, 대체 무엇때문인지,아이들을 위한 건지, 뭔지 교사를 지들 밥으로 생각하는게 아니라면 예의는 갖췄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농구공 갯수와 메이커 이름을 왜 조사하는지는 알아야 하지 않나. 국회의원 이름 석자만 떡하니 대면 이유불문 당장 해바쳐야 할 일인가"라고 호소했다. 신 의원실에도 일선 교사들의 항의 전화가 빗발친 것으로 알려졌다. '실천교육교사모임'이라는 교사 단체는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청원글을 올려 국회의원들의 무리한 국감 자료 요청을 자제해달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청원글에서 "각종 자료 제출 요구로 이를 처리하는 행정기관들은 업무가 마비될 지경"이라며 "학교에서는 이런 요구에 응하느라 때로는 수업마저 파행을 겪기도 한다"고 호소했다. 지난 7일 게시된 이 글에는 이날 오전 10시 현재 5602명이 동의한 상태다.

이에 대해 신 의원실 관계자는 "시ㆍ도 교육청에는 사유를 알렸지만 국감을 앞두고 정보가 샐 경우 해당 브랜드 업체가 은폐에 나설 수도 있는 상황이어서 일선 교사들에게 보낸 공문에선 이유를 밝히지 않았다"며 "위원회 차원의 공식 자료 요구는 의결을 거치지만, 개별 국회의원들도 얼마든지 자료를 요구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신 의원은 최근까지 국토교통위원회에 소속돼 있다가 3기 신도시 개발 후보지 정보를 유출하는 등 물의를 빚어 환노위로 옮겨왔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