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해고자 가족, 경찰청장 면담 요구…"진상조사위 권고안 수용하라"

3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쌍용차 노조원 가족들이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사진=이관주 기자)

3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쌍용차 노조원 가족들이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사진=이관주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2009년 경기도 평택 쌍용자동차 노조원 진압 사건 관련해 당시 파업에 참가했던 노조원 가족과 해고자 등이 경찰의 사과와 경찰 인권침해 사건 진상조사위원회의 권고 수용 등을 촉구했다.이들은 30일 오전 11시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주장하며 민갑룡 경찰청장과의 면담을 요구했다.

쌍용차 노조원 가족인 권지영 심리치유센터 와락 대표는 “파업에 참가한 노조원들을 폭력적이고 과격한 집단 이기주의자로 만들어 놓고 국가는 아무런 도움을 주지 않았다”면서 “책임자들에 대한 합당한 크기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 경찰의 입장을 듣고 싶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건 당시 가족대책위 대표였던 이정아씨는 “진상조사위의 발표가 전혀 놀랍지 않았다. 현장을 목격했던 사람이라면 경찰이 어떤 존재였는지 모두 실감했을 것”이라며 “어린 아이들을 향해 물병과 돌멩이, 볼트를 날리고 헬기로 위협하는 등 갖은 모욕을 당했음에도 경찰은 한마디 대꾸도 없었다. 제대로 처벌하고 공식적인 사과를 해달라”고 호소했다.
3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쌍용차 노조원 가족 등이 경찰청장 면담을 요구하며 청사 내로 들어가고 있다. (사진=이관주 기자)

3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쌍용차 노조원 가족 등이 경찰청장 면담을 요구하며 청사 내로 들어가고 있다. (사진=이관주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당시 경찰이 인도적 차원에서 공장 진입을 시도했던 의료진을 가로막은 데 대한 규탄도 이어졌다. 이상윤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공동대표는 “군부독재 시절에도 의료진의 접근을 막진 않았는데 유일하게 쌍용차 때만 경찰이 막아섰다”며 “더구나 진압과정에서 경찰이 썼던 최루액은 발암물질이라 어느 나라에서도 쓰지 않는 것인데 자기 국민에게 쏘면서 진압했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국가폭력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구호를 외친 뒤 당시 살포된 최루액 20만ℓ를 비판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한편 진상조사위는 최근 평택 쌍용차 노조원 진압 당시 청와대의 최종 승인을 통해 대테러작전을 방불케하는 과잉진압이 이뤄졌다는 결론을 내놨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