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연세대 등 '실험실 창업' 선도대학 5곳 본격 육성

교육부-과기정통부, 교육→연구→창업 중심 고급 일자리 창출

숭실대·연세대 등 '실험실 창업' 선도대학 5곳 본격 육성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정부가 숭실대와 연세대, 전북대, 한국산업기술대, 한양대 등 5개 대학을 올해 실험실 창업을 선도할 대표 대학으로 선정했다.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학의 실험실 창업 활성화와 창업 인재양성을 위한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대학 실험실의 보유기술 역량, 대학별 창업 지원 계획 및 의지를 종합 평가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4일 밝혔다.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은 교육부와 과기정통부, 중소벤처기업부가 협력해 교원과 대학원생 등 대학 구성원의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교육부가 8억2000만원, 과기정통부가 16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실험실 창업'이란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을 통해 대학이 논문 또는 특허 형태로 보유한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기술집약형 창업을 의미하는데, 실험실 창업 기업은 일반 창업기업에 비해 평균 고용규모가 3배 가량 높고(9.5명), 창업 5년 생존율(80%)도 일반 기업(27%)에 비하여 우수해 일자리 창출과 혁신성장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이번에 선정된 5개 대학은 한국연구재단과 사업 협약을 체결하고 사업비를 교부받아 본격적인 실험실 창업 지원에 나선다. 각 대학에는 실험실 창업 전담인력 인건비, 교육과정 개발·운영비, 학생 창업수당 등 실험실창업 인프라 조성자금과 함께 우수 기술 보유 연구실 대상 후속 연구개발(R&D), 사업화 모델 개발 등 실험실 창업 준비 자금으로 3년간 약 15억원을 지원한다.

이들 대학들은 사업을 통해 교육, 연구, 창업 활동을 하나로 뭉쳐 과학기술 기반의 고급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대학운영의 새로운 변화를 주도한다.

우선 창업에 적합한 기술을 만들기 위해 우수기술을 보유한 실험실이 시장 수요에 맞도록 기술완성도를 높이고, 사업화 모델(Business Model, BM)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개발(R&D) 자금을 제공한다. 실제 창업을 담당할 학생들의 창업 인식 개선 및 실전 창업 역량 강화를 위해 대학원 내에 실험실 창업 관련 정규 교과목을 개설하고 창업 동아리 운영, 시장탐색 활동 등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또 학교 내의 학사제도 정비를 통해 대학원생이 학위와 진로 걱정 없이 창업에 도전하도록 졸업요건을 보완하고, 교원의 실험실 창업을 독려하기 위해 업적평가에 창업 실적을 반영하며 창업 연구년제를 도입하는 등 창업친화적 인사제도를 마련한다. 창업 기업의 설립·성장이 용이하도록 투자-회수-재투자의 선순환 체계를 통해 실험실 창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자체 재원을 마련하고 대학원생들을 위한 창업 전용공간도 조성한다.

교육부와 과기정통부는 대학 내 초기 창업기업 투자를 통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대학원생 예비창업팀 발굴 및 시장탐색형 창업교육을 지원하는 등 대학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영곤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관은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이 학사·인사제도를 창업 친화적으로 개편하고 대학원생 대상의 창업 관련 다양한 교과·비교과 프로그램을 마련함으로써 대학이 혁신 성장에 적극 참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