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계 종사 여성 57.7% 성폭력 직접 겪었다

인권위·문체부,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특별조사단 운영 결과 발표

연극 연출가 이윤택 씨로부터 성폭력을 당한 피해자들과 여성인권단체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서초동 서울지방변호사회 정의실에서 열린 '미투(Me Too) 운동 그 이후, 피해자가 말하다!' 기자회견에서 미투 운동을 지지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연극 연출가 이윤택 씨로부터 성폭력을 당한 피해자들과 여성인권단체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서초동 서울지방변호사회 정의실에서 열린 '미투(Me Too) 운동 그 이후, 피해자가 말하다!' 기자회견에서 미투 운동을 지지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유병돈 기자] 문화예술계에 종사하는 여성 10명 중 6명 가까이 성희롱이나 성폭력을 직접 겪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가인권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가 공동으로 구성·운영하는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특별조사단’은 19일 오전 11시 인권위 11층 인권교육센터별관에서 특별조사단 운영 결과를 발표했다.특별조사단은 여성가족부 산하 ‘문화예술계 특별신고·상담센터’로 접수된 175건 피해사례 중 피해자가 조사를 요청·인계한 30건과 특별조사단으로 직접 접수된 6건 등 총 36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또 40여개 문화예술 기관 및 단체와의 간담회와 전문가 간담회, 토론회를 진행했으며, 24개 기관·단체와 문화예술인·예술계 대학 재학생 응답자 438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분석 및 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했다.

특히 특조단에 접수된 신고사건 총 36건 중 5건은 인권위 진정사건으로 접수해 구제조치 권고 2건, 조정 1건, 조사 중 해결 1건으로 조사 종결했으며 1건은 조사 중에 있다. 나머지 31건은 수사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연계(11건)했고, 그 밖에 시효가 완성된 사건(9건)과 피해자가 조사를 원하지 않거나 피해자를 특정할 수 없는 사건(11건)은 피해자 인터뷰 및 기초조사 실시 후 종결했다.

이 가운데 ‘A대 교수에 의한 학생 성추행 건’은 가해자에 대한 수사의뢰와 A대에 가해자에 대한 징계 및 성희롱 예방교육 등을 권고했고, ‘영화배급사 이사의 직원 성추행 건’은 가해자에게 손해배상 및 특별인권교육, 사업주에게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권고했다. ‘예술계 B대학의 교내 성희롱 성폭력 건’의 경우는 재발방지 대책 미흡으로 관련 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돼 관리 감독기관에 감사를 의뢰했다.또 설문조사 주요 분석 결과, 단체 및 협회 등 문화예술계 종사자 응답자 3718명 중 고용형태는 프리랜서가 70.6%(2624명)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여성응답자 2478명 중 과반 수 이상(57.5%, 1429명)이 ‘성희롱·성폭력을 직접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기도 했다.

응답자들은 문화예술계 내 성희롱·성폭력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성희롱·성폭력을 가볍게 여기는 문화예술계 특유의 분위기’(64.7%), ‘성희롱 성폭력에 대한 인식부족’(54.9%),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피해자의 권익을 대변할 공적 조직 미비’( 44.5%) 등을 꼽았다.

성희롱 성폭력 근절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는 ‘프리랜서 등으로 활동하는 문화예술인을 보호할 수 있는 법률정비’(68.2%), ‘성희롱·성폭력 행위자에 대한 공공기관 등 채용 제한’(60.4%), ‘국가보조금 지원 제한’(56.2%),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전담기구 설치 필요’(51.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특별조사단은 설문조사, 토론회, 신고사건 등 결과를 종합해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근절을 위한 정책 과제로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전담기구 설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예술가의 지위 및 권리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 ▲성희롱·성폭력 행위자에 대한 공적지원 배제를 위한 법령 등 정비 ▲성희롱 등 예방조치가 포함된 표준계약서 마련 및 보조금 지원 시 표준계약서 의무화 정책 등 4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아울러 문화예술계 대학 내 성희롱 성폭력 근절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으로 ▲성희롱 성폭력 고충처리시스템 정비 및 피해자 보호시스템 강화 ▲성희롱 성폭력 예방지침 및 매뉴얼 마련·보급 ▲성희롱 성폭력 예방교육 실시 및 현장점검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문체부는 특별조사단이 발표한 문화예술계 정책과제 및 개선사항을 검토해 성희롱 성폭력 예방대책에 반영,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특별신고·상담센터의 운영이 종료됨에 따라 분야별 신고상담창구를 운영할 계획이다.

인권위는 대학 내 성희롱 성폭력 근절을 위해 관계기관인 교육부 및 여성가족부의 관련 정책을 모니터링 하여 향후 정책권고 및 의견표명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문화예술 분야 전반에 걸친 성희롱·성폭력 사례들이 SNS, 언론 등을 통해 지속 제기됨에 따라 인권위와 문체부는 미투 운동 등을 통해 폭로된 성희롱·성폭력 사건 조사를 위해 지난 3월12일부터 100일간 한시적으로 특별조사단을 운영해왔다.








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