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도보다리 산책서 문재인 속였을 수도”

니혼게이자이신문, 비공식 1대1 회담 단점 지적…“한국, 北의 외교공작에 휘둘리고 있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27일 오후 판문점 도보다리에서 산책하며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27일 오후 판문점 도보다리에서 산책하며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진수 선임기자] 지난달 27일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연출한 산책대화와 관련해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김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을 속였을지 모른다고 18일 주장했다.미국ㆍ일본 외교 소식통들에 따르면 전문용어로 '테타테트(tete-a-tete)'라는 비공식 1대1 회담에서 통역관의 동석 여부는 그 의미가 크게 다르다. 통역관이 옆에 있으면 그것이 어떤 비공식적인 대화라도 통역관의 청취를 바탕으로 회담 기록이 만들어진다. 기록은 외교문서로 일정한 무게를 지닌다.

하지만 통역관 없는 두 정상만의 대화라면 대화 내용은 정상들의 기억에만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회담 내용과 관련해 양쪽에 인식차가 생기면 나중에 다툼이 생길 수 있다. 두 사람만의 자리에서는 상대방이 본심을 말하고 있다고 착각하기가 쉽다. 아울러 한 쪽이 거짓말로 상대방을 속이기도 쉽다.

니혼게이자이는 미국ㆍ유럽의 정보 당국자들 사이에서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과 대화할 때 어떤 기만공작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고 소개했다.미국ㆍ일본 외교 소식통들에 따르면 북미정상회담을 준비 중인 미 중앙정보국(CIA)과 국무부 역시 "문 대통령이 설명한 김 위원장의 발언 모두가 진심을 드러낸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지난 3월 31일∼4월 1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평양을 방문한 당시 마이크 폼페이오 CIA 국장이 지난 9일 다시 방북해 비핵화 등에 관한 김 위원장의 의도를 파악한 것은 이 때문이다.

니혼게이자이는 이후 전개된 상황을 보면 한국 측이 북한의 외교공작에 휘둘리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북한은 이달 16일로 예정됐던 남북 고위급 회담을 무기한 연기한다고 한국에 통보했다. 그동안 한국 정부의 설명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한미연합군사훈련도 이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한은 한미연합군사훈련을 강력히 비난하고 미국 측이 요구한 비핵화에 대해서도 반발했다.

통역관 배석 없는 두 정상만의 회담에서 상대방에게 속을 경우 잃게 될 국익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 궤도를 수정하기가 매우 어려운데다 자국에 대한 동맹국들의 신뢰 실추로 이어질 수도 있다.

김 위원장의 산책대화는 북한에 유화적인 문재인 정권의 중재외교뿐 아니라 비공식 1대1 회담의 위험성을 미국ㆍ유럽ㆍ일본의 정보 당국에 재인식시키는 계기가 됐다고 니혼게이자이는 지적했다.






이진수 선임기자 commu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