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76세로 별세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세계 물리학계의 거인 스티븐 호킹이 14일(현지시간) 타계했다. 호킹은 현대적인 우주론을 만드는데 기여했고, 대중들의 과학에 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이바지했던 인물이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날 호킹 교수의 가족들은 성명서를 통해 캠브리지 자택에서 고인이 사망했다고 알렸다. 호킹 교수의 3자녀는 "사랑하는 아버지가 오늘 세상을 떠났다"면서 "아버지는 뛰어난 과학자였으며, 비범한 인간으로 연구 성과와 업적은 오랜 세월 남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버지의 용기, 재기와 유머를 갖춘 인내는 전 세계 수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줬다"고 소개했다.1942년생인 호킹은 21살의 나이에 루게릭병(근위축성측삭경화증)에 걸렸다. 당시 의사들은 그가 2년가량 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지만, 그는 의사들의 예상을 뛰어넘어 50년 이상을 더 살았다. 움직일 수 없었고,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손가락을 이용해 컴퓨터로 음성을 만들어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했다.

장애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학문적 성과, 대중적 과학 글쓰기를 통해 그는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그는 남극과 이스터섬 등을 여행했으며, 무중력 공간을 체험하기도 했다.

호킹은 자기 삶의 목표를 '우주에 대한 이해'로 정했다. 그는 우주가 왜 형성됐고, 존재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평생을 쏟았다. 이를 위해 그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을 합하는 방식을 찾기 위한 방법을 모색했고, 자연계의 네 가지 힘인 중력, 전자기력, 약력, 강력을 하나로 통합하여 설명할 수 있는 모든 것의 이론(Theory of Everything)을 위해 노력했다.
호킹은 블랙홀에 관한 연구 등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뒀다.그가 쓴 시간의 역사는 1000만부 이상이 판매됐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