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銀 보유지분 7~8% 먼저 팔고…나머지는 지주사 전환 후에 매각"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 정부가 연내 우리은행 보유 지분 7∼8%를 매각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나머지 지분은 지주사 전환 후 매각, 공적자금 회수금액을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연내 예금보험공사(예보)가 보유한 우리은행 잔여지분 18.52% 중 7∼8%를 매각 완료할 계획이다.박경서 공자위 민간위원장(고려대 교수)은 "지주사 전환 전인 연내 잔여지분 중 일부는 분명히 매각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지주사 전환 전 일부를 팔고, 전환 후 일부를 파는 방식이 될 수밖에 없을 것 같다"면서 "지주사 전환 전후 주가변동에 대한 리스크 분산과 헐값 매각 논란을 피하기 위한 타협안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박 위원장은 "우리은행이 지주사 전환에 성공하면 주식 가치가 상승할 것"이라며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차원에서 일부 지분 매각 시점은 지주사 전환 이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1% 정도 물량을 사는 재무적 투자자를 찾아서 7~8% 정도 매각하는 것은 크게 어렵지 않다"고 덧붙였다.

그는 정부가 투입한 공적자금은 해당 기업이 정상화 궤도에 오른 즉시 회수하는 것이 기회비용과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신뢰도 제고 차원에서 적절하다고 부연했다.

정부는 지난 2001년 3월 12조8000억원의 공적 자금을 당시 우리금융지주에 지원했다. 이후 공모ㆍ블록세일을 통한 지분매각, 과점주주 매각, 배당금 수령 등을 통해 10조6000억원을 회수했다.

그는 "우리은행 주가가 올라야 팔 수 있다는 시각은 논리가 맞지 않다"면서 "정부가 투입한 자금을 기회비용으로 보면, 주가의 등락에도 불구 10년 전에 팔았으면 더 이득이었을 것"이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회사의 가치 그 자체에 자신의 이해관계가 달려있는 주주가 좋은 주주"라면서 "정부는 정책 운영에 은행을 도구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독립성이 없는 '나쁜 주주'에 속한다"고 말했다. 이는 민간이 투자한 기업을 정부 정책 운영의 도구로 활용하면 안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는 "우리은행은 지난해 자본건전성을 높이고 배당을 할 만큼 충분한 실적을 거둬들였다"고 판단했다.

다만 지분매각의 정확한 시점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박 위원장은 "정확한 매각 시점이 나오면 공매도 세력이 시장을 혼탁하게 만들 수 있다"며 "시장 상황 등을 감안, 매각시점을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