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40% 1년에 책 한 권도 안 읽어

성인과 학생 독서율 1994년 조사 이래 최저치…독서량 역시 줄어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성인 열 명 가운데 네 명이 1년에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과 공부 등으로 여유가 부족한 탓이 컸다.

문화체육관광부가 5일 발표한 '2017 국민독서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도서(교과서·학습참고서·수험서·잡지·만화 제외)를 한 권이라도 읽은 비율은 성인이 59.9%, 학생이 91.7%다. 독서율을 처음 조사한 1994년 이래 최저치다. 2015년보다는 각각 5.4%P와 3.2%P 감소했다.독서량 역시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성인은 평균 8.3권, 학생은 28.6권이다. 2015년 조사보다 각각 0.8권과 1.2권 줄었다. 단 책을 한 권 이상 읽은 성인의 독서량은 13.8권으로 2015년의 14권과 큰 차이가 없었다. 전체 독서 인구는 줄었으나 독서자의 독서량은 꾸준하게 유지된 셈이다.

전자책 독서율은 성인이 14.1%, 학생이 29.8%로 나타났다. 2015년보다 각각 3.9%P와 2.7%P 증가했다. 그러나 스스로 독서량이 부족하다고 생각한 성인의 비율은 59.6%에 불과했다. 2011년의 74.5%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독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점 줄어드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간 도서 구매량은 성인이 평균 4.1권, 학생이 4.7권이었다. 성인의 경우 1년에 평균 5만5000원을 도서 구입에 사용했다. 독서 시간은 성인의 경우 평일 23.4분, 주말 27.1분이었다. 2015년 조사보다 각각 0.6분과 1.8분 늘었다. 학생 역시 평일과 주말의 독서시간이 각각 4.4분과 9.2분 많아졌다.독서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는 일과 공부 등에 따른 여유 부족을 꼽았다. 성인의 경우 휴대전화 이용, 인터넷, 게임, 다른 여가 활동 등으로 시간이 없다고 했다. 학생은 책 읽기가 싫고 습관이 들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더 많은 독서를 위해 지역의 독서환경 조성, 생애주기별 독서활동 지원, 다양한 독서동아리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12월 말까지 전국 17개 시·도의 만 19세 이상 성인 6000명과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생 3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성인 ±1.7%P, 학생 ±1.8%P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