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가학동에 30만㎡규모 '복합유통단지' 조성된다

광명유통단지 조감도

광명유통단지 조감도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광명)=이영규 기자] 경기도 광명 가학동 일원에 30만㎡규모의 복합 유통단지가 들어선다.5일 경기도와 광명시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9월 광명시가 제출한 '광명 유통단지 도시개발 구역지정 및 개발계획'을 승인하고 이날 경기도보와 경기도 홈페이지를 통해 고시했다.

이날 고시된 '광명 유통단지 도시개발 구역지정 및 개발계획'을 보면 현재 특별관리지역으로 묶여 있는 광명시 가학동 일원 29만9529㎡를 해제하고 이 곳에 2567억원을 투입해 미래지향적 복합 유통단지를 조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복합 유통단지 안에는 유통시설용지(14만6232㎡)와 지원시설용지 및 도로ㆍ공원ㆍ녹지(15만3297㎡) 등이 조성된다. 상주 인구는 1만354명, 이용인구는 5만1669명으로 추산된다. 유통단지 사업시행자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이고 이 곳에는 생활용품과 화훼 등 500여개 도ㆍ소매 유통업체가 입주하게 된다. 이 사업은 2016년 경기도와 광명시, 시흥시, 경기도시공사, LH가 맺은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조성 업무협약의 후속조치다. 광명시흥 테크노밸리는 2022년까지 광명 가학동과 시흥 논곡동ㆍ무지내동 등 3개 동 일원에 조성되는 첨단 단지다.

총 205만7000㎡(62만2000평) 부지에 1조7524억원이 투입되는 광명시흥 테크노밸리에는 판교테크노밸리에 버금가는 첨단R&D단지와 이를 뒷받침할 산업제조단지, 물류유통단지, 주거단지까지 함께 들어선다.

첨단R&D단지(49만4000㎡)와 주거문화단지(28만6000㎡)는 경기도시공사가 사업 시행을 맡는다. 일반산업단지(98만8000㎡)와 물류유통단지(28만9000㎡) 조성은 LH에서 한다.

도는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조성으로 2200개 기업 유치와 9만6497개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테크노밸리 조성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3조739억원에 이르고, 1조820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도 기대된다는 입장이다.


광명시흥테크노밸리 조성 위치도

광명시흥테크노밸리 조성 위치도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에 도시개발계획이 확정된 광명 유통단지는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4개 사업 중 유통단지에 해당된다. 도는 광명 유통단지 도시개발구역지정 및 개발계획이 마무리됨에 따라 사업시행자인 LH는 올 하반기 실시계획인가를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유통단지 외에 일반산업단지와 주거단지, 첨단R&D단지 조성절차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7월과 11월 사업승인 신청을 한 일반산업단지와 첨단R&D단지의 경우 연내 사업승인 절차가 완료되고 본격 보상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 주거단지의 경우 올 상반기 도의회 의결 절차가 끝나면 승인 신청이 진행된다.

백원국 도 도시주택실장은 "광명 유통단지 도시개발사업은 광명시흥 특별관리지역의 난개발 회복과 계획적인 개발, 정비에 디딤돌이 되는 사업"이라며 "이번 고시로 나머지 사업들도 탄력을 받게 됐다. 광명시흥 테크노밸리가 판교테크노밸리에 버금가는 국내 융복합 첨단산업의 핵심거점이 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