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반가사유상, 재질 다르다"

국보 제78 호 금동반가사유상. [사진=국립중앙박물관]

국보 제78 호 금동반가사유상.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노태영 기자]한국과 일본의 금동반가사유상이 재질에 뚜렷한 차이가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09~2012년 오사카대학 등 일본 연구기관과 함께 진행한 반가사유상 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 '한일 금동반가사유상'에서 한국과 일본에 있는 금동반가사유상 43점의 성분 분석 결과를 31일 공개했다.성분 분석 대상은 한국에 있는 불상 12점, 일본 소재 불상 31점이다. 특히 최고의 금동반가사유상으로 꼽히는 국보 제78 호 반가사유상과 국보 제83 호 반가사유상도 포함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금동반가사유상은 대부분 구리·주석 합금 재질이고 주석 함량이 많았다. 이에 비해 일본에서 만들어진 금동반가사유상은 구리만 넣은 순동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재질뿐만 아니라 조형적인 면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한국 반가사유상은 상반신의 비율이 가늘고 길지만, 일본 반가사유상은 상반신이 짧고 불상을 받치는 대좌가 거대했다. 일본 반가사유상 중에는 대좌 아래에 추가로 대좌받침을 마련한 경우도 있었다.금동반가사유상은 청동 표면에 도금한 반가사유상을 말한다. 반가사유상은 한쪽 다리를 다른 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을 뺨에 댄 채 생각에 잠겨 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 불상이다. 간다라 지방에서 처음 출현했으나, 한국과 일본에서 특히 유행했다.




노태영 기자 factpoe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