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논산·보령·금산 등 8개 시·군 인구감소 ‘빨간불’


[아시아경제(내포) 정일웅 기자] 충남 관내 15개 시·군 중 8개 시·군이 인구감소로 인한 도시 ‘소멸위험’에 놓여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일 충남연구원의 ‘2015년~2016년 충남 시·군 인구변화’ 인포그래픽에 따르면 지난해 충남지역의 총 인구는 213만2566명으로 전년대비 2만4764명(1.2%포인트) 증가했다. 연령대별 분포(2015년 대비 2016년)에서 유소년인구(0세~14세)는 3874명 감소한 반면 생산연령인구(15세~64세)는 1만4526명, 고령인구(65세 이상)는 7659명이 증가해 지역 총 인구가 늘어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단 도내 총 인구의 60.7%가 천안·아산·서산·당진 등 북부권 4개 지역에 편중되는 등 지역 간 인구쏠림이 극명하게 나타났다.

가령 2015년 대비 2016년 시·군별 인구 증감현황에선 홍성군(내포신도시)이 6.6%로 인구가 가장 많이 늘었고 계룡 3.3%, 아산 2.5%, 천안·공주·태안 각 1.5%, 금산·당진 각 1.4%, 서산 0.2%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이외에 지역에선 공주 -0.5%, 보령·청양 각 -0.7%, 부여 -1.3%, 서천 -1.6%, 예산 -2.9% 등으로 인구가 줄어 지역 간 인구증감 편차가 최대 9.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문제는 지난해 기준 논산, 보령, 금산, 예산, 태안, 부여, 청양, 서천 등 8개 지역이 ‘소멸위험’ 단계에 진입했다는 점이다.

소멸위험지수는 20세~39세의 가임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 노인인구 수로 나눠 계산된 수치로 소멸위험지수가 ▲1.5이상이면 ‘소멸 저위험’ ▲1.0~1.5 ‘정상’ ▲0.5~1.0 ‘소멸주의’ ▲0.5 미만 ‘소멸위험’ ▲0.2 미만 ‘소멸 고위험’ 등으로 분류된다.

이를 반영할 때 소멸위험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지역은 천안(1.67), 아산(1.34), 계룡(1.20) 등지에 불과하며 이외에 지역에선 소멸주의 및 소멸 위험 수위에 포함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충남 인구의 평균 나이는 41.6세로 집계되며 지역별로는 서천이 51.6세로 가장 높고 천안·아산이 37.3세로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된다.



내포=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