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北과 직접 대화 시간낭비"‥국무부는 북과 접촉 중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렉스 틸러스 미 국무부 장관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렉스 틸러스 미 국무부 장관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뉴욕 김근철 특파원] 미국 백악관이 북핵을 포기시키기 위한 압박 외교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북한과의 직접 대화는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국과 중국, 일본 등 아시아지역 순방에 대한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렉스 틸러슨 국무부 장관의 대북 대화론을 '시간 낭비'로 규정했던 배경을 설명하면서 "대통령은 외교가 시간 낭비라고 트윗을 한 게 아니라 북한과 '직접대화'가 시간낭비라고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우리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해 지역 내에서 외교를 추구하고 있다. 다른 나라들이 북한과의 관계를 격하하고 (북한)이주 노동자를 귀향시키며 북한 정권의 자원을 거부하도록 하는 외교 작전도 계속하고 있다"면서 "우리 정부와 대통령의 명확한 입장은 북한 정권의 행동에 중요한 변화가 없는 현시점과 예측 가능한 미래에 북한과의 직접 대화는 현명하지 않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도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미국 본토를 성공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보유가 임박했다"면서 "북한이 ICBM을 가지도록 할 수는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중국이 대북 제재를 준수하고 있지만 북한 리더십에 더욱 압력을 행사해 주길 희망한다"며 중국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한 뒤 "러시아도 그렇게 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반면 외신들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대화에 대한 거부감에도 불구하고 국무부가 북한과의 직접 대화를 계속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북ㆍ미 간 대화재개 필요성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는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가 유엔(UN) 주재 북한 대표부 외교관들과의 '뉴욕 채널'을 통해 북한과의 대화를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 김근철 특파원 kckim1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