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중국 국경 대치 촉발' 부탄 국왕, 인도 방문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추크(오른쪽) 부탄 국왕과 제춘 페마 왕추크 왕비 / 사진=연합뉴스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추크(오른쪽) 부탄 국왕과 제춘 페마 왕추크 왕비 / 사진=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고정호 기자]인도와 중국의 국경 무장대치 사태를 촉발한 부탄의 국왕이 인도를 방문한다.

인도 외교부는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추크(37) 부탄 국왕이 31일부터 나흘 일정으로 인도를 방문하며 이 방문에 제춘 페마 왕추크 왕비와 기알세이 지그메 남기엘 왕추크 왕자도 동행한다고 밝혔다.인도 외교부에 따르면 왕추크 국왕은 람나트 코빈드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만찬을 함께 하고 인도 부통령, 외교장관을 비롯해 다른 인도 정부 고위인사들 또한 두루 만날 예정이다.

또한 인도 외교부는 "내년 인도-부탄 수교 50주년을 앞두고 이뤄지는 이번 방문은 양국 협력 관계 전반을 돌아보고 특별한 우호 협력으로 나아가기 위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탄 국왕의 이번 인도 방문은 지난 6∼8월 부탄-인도-중국 3국 국경이 만나는 도클람(중국명 둥랑<洞朗>) 지역에서 벌어진 인도군과 중국군의 무장 대치가 종료된 뒤 2달 만에 이뤄진 것이기 때문에 주목을 받는다.앞선 6월16일 중국군이 도클람에서 도로 건설을 시작하자 부탄은 도로 건설이 이뤄지는 위치가 부탄의 영토라며 중국에 항의했고 이에 인도군이 인도-부탄 간 우호조약을 근거로 도클람에 군대를 파견했다. 이후 중국군과 인도군은 73일 동안 대치하다가 8월28일 서로 병력을 후퇴시키며 대치를 풀었다.

일각에서는 당시 인도군과 중국군의 대치하게 된 발단이 부탄이었음에도 대치 기간 동안 부탄 정부가 상대적으로 자국의 목소리를 크게 내지 않은 사실을 바탕으로 인도의 대외정책 노선을 좇으면서 인도와의 우호 관계를 중시했던 전통적인 부탄의 외교 노선에 변화가 생긴 것 아니냐는 관측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왕추크 국왕 가족의 이번 인도 방문으로 이러한 해석은 상당 부분 해소되고 양국의 전통적인 우호 관계가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고정호 기자 jhkho284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