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원, 3D프린팅 안전·의료분야 국제표준 개발 추진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국가기술표준원은 오는 19일부터 21일까지 스웨덴 표준연구소에서 개최되는 제10차 3D프린팅 국제표준화 총회(ISO/TC 261)에서 한국이 제안한 '3D프린팅에서 방출되는 미세먼지의 방출량 측정방법'과 '의료용 3D프린팅을 위한 의료영상 데이터의 최적화 방법' 등 2종을 국제표준으로 개발한다고 18일 밝혔다.

3D프린팅 국제표준화 총회에는 작업반(WG) 및 특별그룹(AHG), ISO/ASTM 공동작업반(JG) 등 총 23개 표준화 회의가 진행되며, 독일,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등 22개국 100여 명이 참석한다.우리나라는 센트롤, 조선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3D융합산업협회 등 10개 기관, 14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국제표준화 활동을 펼치게 된다.

3D프린팅 국제표준화를 담당하는 ISO/TC 261은 2011년에 설립돼 22개국의 정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7종의 국제표준이 제정돼 있고, 11종의 국제표준이 개발 중이며 우리나라는 2종의 국제표준을 제안했다.

우리나라가 제안해 개발되는 3D프린팅에서 방출되는 미세먼지의 방출량 측정 방법은 개인들이 사용하는 3D프린터 중 소재를 압출하는 방식의 3D프린터에서 방출되는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보건환경연구소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측정방법이다.이 표준은 3D 프린팅 사용에 따른 호흡기 질환 등 안전성 평가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국내 3D 프린팅 제조업체에 활용하여 품질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용 3D프린팅을 위한 의료영상 데이터의 최적화 방법은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문영래 교수가 국제표준으로 제안한 것으로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단층촬영사진(CT) 등의 영상데이터 치수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표준화 한 것이다.

이 표준은 3D프린팅으로 생산되는 인공 관절, 인공 뼈 등의 치수오차를 줄여 환자치료에 최적화된 제품을 생산하고, 이를 통해 수술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세종=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