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생·미취학아동 사교육비 첫 실태 조사

교육부-통계청, 시험조사 결과 토대로 내년 본조사 여부 결정

유치원에서 수업중인 어린이들(사진은 기사 본문과 관계 없음)

유치원에서 수업중인 어린이들(사진은 기사 본문과 관계 없음)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교육 당국이 초·중·고등학생 사교육비에 이어 학부모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 유아 사교육비에 대해 첫 실태 조사에 나선다.교육부와 통계청은 다음달 15일까지 대전과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만 3~5세 자녀를 둔 학부모 약 2100명을 대상으로 지난 3개월간의 사교육 경험과 비용에 대해 조사한다고 27일 밝혔다.

유아 사교육비는 유아들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누리과정 이외에 사적인 수요나 보충교육을 위해 개인이 부담하는 비용으로, 국어나 영어, 수학, 독서 등의 교과 사교육이나 예체능 관련 과목, 개인과외나 그룹과외, 학원, 방문학습지, 유료인터넷 강좌 등이 포함된다.

이번 조사는 유아 사교육비의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정책 수립과 연구 기초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조사에 앞서 조사문항의 적합성 등을 살펴보기 위한 예비조사로 진행된다.조사지역의 기관과 유아 수 등을 고려해 유치원과 어린이집 재원생을 둔 학부모 약 1800명, 가정양육중인 학부모 약 290명이 조사대상이 된다.

교육부와 통계청은 이번 조사를 위해 지난해부터 관련연구를 실시했으며, 관계부처(보건복지부) 및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유아 사교육비 조사를 설계하고 유아교육의 특성에 맞게 문항을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또 초·중·고교 사교육비 조사와 연계해야 할 필요성을 고려해 전반적으로 기존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와 동일하게 사교육비 개념을 정의하고, 조사문항도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를 둔 학부모는 담임교사를 통해 조사 안내를 받고, 가정양육 학부모는 가정에 직접 방문하는 통계청 조사원의 안내를 받아 인터넷 조사와 종이 조사 방법 중 선택해 참여할 수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유치원 뿐 아니라 어린이집, 가정양육 유아들의 사교육 실태가 조사되면 유아교육 내실화와 더불어 실효성 있는 사교육 경감 대책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번 공동 시험조사를 통해 조사 설계 및 문항의 타당성과 적합성 등을 검토한 뒤 내년부터 유아 사교육비 본조사 추진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