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취업' 여고생 죽음으로 내몬 '특성화고 현장실습' 사라진다

취업률 높이는 지표로 악용 차단…취업 대신 직무교육으로 전환

특성화고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특성화고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불합리한 근로계약 및 열악한 노동환경 등으로 비판을 받았던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생 현장실습이 사라진다. 근로계약서 작성, 의무 파견 등이 사라지며 노동이 아닌 실질적인 직무체험교육으로 변화될 전망이다.교육부는 고용노동부와의 논의를 거쳐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현장실습 개선방안'을 25일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주재한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보고했다. 그동안 열악한 근로환경으로 학생들을 내몰았다는 평가를 받은 현장실습을 학습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정부가 이처럼 현장실습 제도를 검토하게 된 데에는 올 1월 전북 전주의 LG유플러스 콜센터에서 발생한 여고생 사망사고가 큰 영향을 끼쳤다. 당시 3학년 홍 모양은 고객센터에서 가장 업무 강도가 높다는 상품 해지방어 부서에서 현장실습을 하며 친구와 가족들에게 극심한 스트레스를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 양이 숨지기 전 부친에게 남긴 마지막 문자에 "나 콜 수 못 채웠어"라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개별 기업의 처벌 차원을 넘어 교육 커리큘럼을 대대적으로 손 보는 작업이 시작됐다.이번 개선안에 따라 학생들은 기본적으로 교육과정의 3분의 2 이상(통상 10월 중·하순까지)을 이수한 뒤 1~2달 가량 직무교육을 받을 예정이다. 기존에는 2학기가 되자마자 학생들을 곧바로 현장실습에 투입하고 근로계약서를 작성해 취업률에 반영하는 등 학교 간 과다한 경쟁으로 학생들을 열악한 노동환경으로 내몰았다는 지적을 받았다.

현장실습에 나서는 학생들은 또 앞으로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고 기업으로부터 임금도 받지 않는다. 파견 근로가 아닌 엄연한 직무교육이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대신 학생들에게 직무교육 기간 동안 중식비와 교통비 등 실비 수당을 지원할 계획이다.

물론 기업에서 훈련 수당을 지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잘 적응한 학생들을 정직원으로 채용하는 과정의 일환일 때 해당된다. 일종의 '인턴'과 같은 개념이다.

현장실습을 의무 사항으로 규정한 직업교육훈련촉진법도 개정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현장실습은 의무에서 자율로 전환된다. 학교 교육을 더 이수 받고 싶은 학생들은 자유롭게 학교에 남아 교육을 받을 기회가 보장된다.

이번 계획은 올 2학기부터 시범 운영된다. 이후 2년 간 도입 학교를 확대, 오는 2020년에는 모든 직업계 고교에 전면 도입될 계획이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