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터에서 겪은 억울한 일 1위 '임금체불'

이어 '징계·해고', '근로시간·휴일·휴가', '퇴직금' 순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서울시민이 일터에서 겪은 억울한 일 1위는 '임금체불'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부터 지난달까지 '시민명예노동옴부즈만'을 통해 진행된 노동 상담 2727건을 분석한 결과 '임금체불'에 관한 경우가 545건(20%)으로 가장 많았다고 25일 밝혔다. 이어 '징계·해고'가 426건(15.6%), '근로시간·휴일·휴가'가 401건(14.7%), '퇴직금'이 379건(13.9%)이었다.

근로형태를 밝힌 상담자 1764명 중 정규직은 952명(54%)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기간제근로자 311명(17.6%), 일용직근로자 219명(12.4%), 단시간근로자 75명(4.3%), 무기계약직 71명(4.0%) 순이었다.

시민명예노동옴부즈만은 공인노무사 등 노동전문가로 구성된 그룹이다. 노동자의 권리 구제를 돕고 권익침해 예방을 위한 무료 상담 등을 2012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상담 내용은 부당해고·임금체불 등 심각한 노동 관련 문제부터 질병휴직 기간의 퇴직금 산정 시 근속기간 포함 여부, 권고사직 시 실업급여 수급사유 여부, 1년 미만자의 연차휴가 관련 질의, 1일 입사자의 4대 보험 가입 여부 등이다.

노동 상담은 매년 늘고 있는 추세다. 2013년 1952건이었던 상담은 2014년 2384건, 2015년 3146건, 지난해 3303건을 기록했다.

이에 자치구별로 1명씩 총 25명이었던 시민명예노동옴부즈만은 이번 달부터 총 50명으로 대폭 늘었다. 이번에 추가 위촉된 시민명예노동옴부즈만은 공개모집을 통해 접수된 104명 중 노동분야 활동경력, 공익활동 경력 등을 고려해 선발했다.

상담을 원하는 경우 120다산콜이나 시 홈페이지에서 해당 자치구를 담당하는 시민명예노동옴부즈만의 연락처를 확인한 뒤 이메일이나 전화로 면담 요청을 하면 된다.

조인동 시 일자리노동정책관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노동 상담에 대한 신속한 구제 절차 지원 등을 위해 시민명예노동옴부즈만을 확대 운영한다"며 "노동자의 권익이 보호되는 노동자 중심 근무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