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비리 정조준한 檢, 조만간 방사청장 등 줄소환

방산비리 정조준한 檢, 조만간 방사청장 등 줄소환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효진 기자] 방산비리 수사에 착수한 검찰이 관련 인사들을 조만간 줄소환할 전망이다. 검찰은 일단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하성용 대표 등 임직원들을 불러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장명진 방위사업청장을 부를 계획이다. 박근혜 정부 차원의 대형 방산비리 스캔들로 사건이 비화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17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방위사업수사부(박찬호 부장검사)는 지난주 KAI를 압수수색해 확보한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분석하며 관련인들의 소환 일정 등 수사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의혹의 핵심은 KAI가 개발한 한국형 헬기 '수리온'이 애초 방사청이 요구한 규격 및 기준에 미달했음에도 방사청이 수리온 전력화를 무리하게 추진하며 KAI를 비호했다는 것이다.

수리온은 국산 헬기 전력화 사업에 따라 2006년부터 1조 2950억여원을 투입한 결과물이다. 2012년 박근혜 정부 들어 공군 전투헬기로 투입이 결정됐는데, 이 과정에서 치명적인 결함인 엔진 결빙 문제와 기체 설계 하자가 발견됐고 비행 성능 인증도 충족하지 못했지만 전력화를 강행했다는 게 감사원과 검찰의 의심이다.

수리온은 2015년 세 차례나 엔진 이상으로 추락하거나 비상착륙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성능실험 결과 엔진 공기 흡입구 등에 허용치 이상의 결빙 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확인됐지만 방사청은 지난해 10월 KAI로부터 내년 6월까지 결빙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계획안만 받고 납품 재개를 승인했다. KAI는 개발비용을 부풀려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의심도 받는다. 하 대표의 '비자금 통장'을 내부제보를 통해 검찰이 이미 확인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검찰은 수리온을 둘러싼 미심쩍은 움직임의 배후에서 금전 등 이권이 오갔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관련, 검찰은 KAI의 관련 임직원들을 출국금지하고 지난 주말 몇몇 실무자를 소환해 기초조사를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방사청과 KAI를 넘어 정권 차원의 '윗선'이 개입했을 가능성도 열어두고 전면적으로 수사한다는 방침이다.



김효진 기자 hjn25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