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휴가 받아도 절반만 사용…평균 7.9일

잔여 휴가 모두 쓰면 여가소비 지출액 16조8000억원 발생…사회적 분위기 확산 필요

휴가부여 일수 및 사용일수

휴가부여 일수 및 사용일수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우리나라 근로자가 평균 연차휴가 15.1일을 얻어 평균 7.9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20세부터 59세까지 재직기간 1년 이상의 임금 근로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국내관광 활성화를 위한 휴가 사용 촉진 방안 및 휴가 확산의 기대효과' 조사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의 연차휴가 사용률은 52.3%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의 평균 휴가 일수 20.6일, 사용률 70%(익스피디아 2016년 11월 자료)에 미치지 못한다. 휴가 사용일이 5일 미만이라는 응답도 33.5%나 됐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휴가 일수는 많았다. 하지만 사용일수는 20대와 50대가 모두 평균 7.7일로 차이가 없었다. 휴가를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요인으로는 직장 내 분위기(44.8%), 업무 과다 또는 대체인력 부족(43.1%), 연차휴가 보상금 획득(28.7%) 등이 꼽혔다. 연차휴가의 사용이 불필요하다는 응답도 16%나 됐는데, 이는 50대에서 두드러졌다.

휴가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 미치는 영향에 응답자의 절반가량(49.9%)은 삶에 대한 만족감 하락을 우려했다.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한 업무능률 저하(38.5%), 스트레스 및 피로 누적으로 인한 건강 문제(33.3%) 등은 그 뒤를 이었다. 휴가사용 횟수는 연평균 5.85회, 최장 휴가사용일은 평균 3.08일로 모두 짧게 나타났다. 휴가 기간 여가활동은 국내여행(36.8%), 휴식·기타활동(35.9%), 해외여행(16.2%) 순으로 높았다. 여가활동 지출액은 해외여행이 평균 239만원, 국내여행이 평균 74만원, 휴식·기타활동이 평균 33만원, 스포츠오락이 평균 25만원으로 조사됐다.

근로자들은 연차휴가를 모두 쓰는 사회적 분위기가 확산될 경우 현재보다 3.4일 늘어난 11.3일을 휴가로 사용할 의향을 보였다. 자유롭게 휴가를 사용하는 조직문화가 확립될 경우에는 10.8일, 미사용 연차 금전 보상을 폐지할 경우에는 10.8일을 휴가로 쓰겠다고 답했다.

문체부는 우리나라 근로자 1400만 명(고용노동부 고용노동통계포털 2016년 자료)이 연차휴가 15.1일을 모두 사용할 경우 여가소비 지출액은 16조8000억원이 늘어나고, 생산유발액과 부가가치 유발액도 각각 29조3000억원과 13조1000억원이 증가한다고 내다봤다. 현대자동차 소나타 46만대 또는 삼성 갤럭시노트4 1670만대를 생산할 때 생기는 경제적 효과와 맞먹는 수준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관광시장과 내수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깊은 상황에서 적극적인 휴가 사용은 개인에게 재충전의 기회를 줄 뿐만 아니라, 어려운 내수경기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번 조사를 계기로 직장인이 휴가를 모두 사용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들이 국내여행에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