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4구 연내 5600여가구 분양…공급부족 해소되나?

올 하반기 강남4구 5602가구 분양
2013년 이후 4년만의 최대물량

▲ 서울 서초구 반포동 일대 아파트 전경

▲ 서울 서초구 반포동 일대 아파트 전경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문재인 정부의 첫 부동산 대책(6·19대책) 발표 직후인 올 하반기 서울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에서만 5600여가구의 분양 물량이 쏟아진다. 이는 지난 2013년 이후 최대지만 반짝 단기 공급에 그칠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강남4구 내 공급택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내년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까지 시행되면 기존 재건축 사업의 위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3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 하반기 강남4구에서 총 5602가구(일반분양 기준)가 분양 예정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강남, 서초 보금자리지구 분양이 집중됐던 2013년(8276가구) 이후 4년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기간(7~12월) 3345가구와 비교했을 때는 67.5% 증가한 수치다.전문가들은 4년여만에 최대물량이 강남4구에 쏟아지지만 현재의 공급 부족을 해소하긴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최근 2~3년간 지속적으로 분양이 이뤄져왔지만 서울의 경우 여전히 청약대기수요가 많기 때문에 공급부족을 잠재우기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더욱이 내년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부활이 기정 사실화되면서 앞으로 강남권에 공급될 수 있는 단지는 더욱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6·19대책 발표 당시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는 내년부터 적용된다"며 추가유예를 검토하지 않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남권 재건축 예정 단지들 중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를 피할 수 없는 단지들의 경우 굳이 서두르지 않고 사업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연내 분양되는 재건축 단지들을 제외한 나머지 물량의 추가 공급 일정은 불확실해 진 상태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콘텐츠본부장은 "서울 전역이 그렇지만 특히 강남의 경우 수요대비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부활까지 겹쳐 추가 공급 여력을 장담할 수 없게 됐다"면서 "문재인 정부의 특목고 폐지 방침에 따라 강남권에 학군수요까지 몰릴 경우 공급부족 현상은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