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계층 관용차 무료 사용·대형폐기물 수수료 스마트폰 납부"

행정자치부, 첨단 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지원사업 4개 시범 추진

대형폐기물 집안수건

대형폐기물 집안수건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소외 계층이 휴일 관용차량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낡은 책상이나 침대 등 대형 폐기물을 버릴 때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수수료를 납부하는 서비스도 추진된다.

행정자치부는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함께 이같은 내용의 '첨단 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지원사업' 4개를 선정해 시범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구체적으로 ▲영상인식기술 활용 대형폐기물처리서비스(은평구) ▲자연어 인식 기반의 지능형상담(챗봇)서비스(대구시) ▲소외계층에 대한 관용차량 카쉐어링 서비스(경기도) ▲드론 활용 현장행정 구축(부산,충남,제주) 등 총 4개 과제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소외계층에 대한 관용차량 카쉐어링 서비스다. 휴일에 운행하지 않는 관용차량을 기초수급대상자, 다자녀가정 등 소외계층이 편하고 쉽게 무상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에 기존 3일 걸리던 행정 처리를 단 1시간으로 단축하고, 차량에 사물인터넷(IoT) 단말기를 부착해 사고 발생시 신속한 처리를 지원한다.

가구 등 대형폐기물을 버릴 때 수수료를 스마트폰을 이용해 편리하게 납부하는 서비스도 추진된다. 스마트폰에 찍힌 폐기물 사진을 인공지능이 스스로 식별해 종류, 크기에 따른 수수료를 부과하고 폐기물처리업자에게 배출위치까지 전송하는 서비스다. 지금까지는 단독주택 거주자의 경우 대형 폐기물 처리시 주민센터를 방문해 스티커를 구입한 뒤 부착해 버려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행자부는 이번 서비스를 위해 컴퓨터가 객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120여 가지의 품목당 약 1만장의 사진을 딥러닝(기계학습)해 학습데이터로 구축할 계획이다.자연어 인식 기반의 지능형상담(챗봇)서비스도 시범 도입된다. 콜센터 상담 데이터베이스를 컴퓨터가 이해하는 지식 유형으로 구축하고 인공지능이 민원인의 질문내용과 의도를 파악한 뒤 분석을 거쳐 정확한 답변을 도출한다. 현재 일부 기관이 도입한 챗봇은 단순 시나리오 기반의 키워드 검색 방식으로 오답률이 높지만, 이번 사업에서는 컴퓨터가 단어의 의미를 알 수 있게 연관관계를 정의한 ‘온톨로지’ 기반의 학습화를 통해 정확한 질문과 답변을 유도한다.

드론을 활용해 공유지 불법 점유율 단속 서비스도 확대된다. 부산, 충북, 제주 지역을 대상으로 노후 교량 점검, 비탈면 관리 등 지자체 현장행정업무 전반에 드론을 활용한다.

행자부는 올해 사업을 민관 협업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사용자 앱을 만들지 않고 민간 플랫폼을 그대로 사용해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구축된 인공지능 학습데이터는 공공과 민간에 개방ㆍ공유할 뿐 아니라 연구개발 등에도 활용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들 사업 중 ‘국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한 사업의 경우에는 전국적으로 확산돼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정윤기 행자부 전자정부국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AI 등을 공공분야에 적극 도입해야 할 시점"이라며 "기술과 서비스 효과를 검증하고 그 성과를 민간과 공유해 공공의 정책과 민간의 역량이 융합되는 서비스로 발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