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 올 성장률 하향조정…지난해 6월보다 0.1%p 낮은 2.7% 전망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세계은행(WB)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7개월 만에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세계은행은 11일 발표한 '2017년 1월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2.7%(시장환율 기준)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6월 전망한 성장률 전망치 2.8%에 비해 0.1%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구매력평가(PPP) 기준 성장률로는 3.6%에서 3.5%로 내렸다.지난해 시장환율 기준 성장률은 2.3%, PPP 기준 성장률은 3.0%에 그칠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세계은행은 "올해 성장률이 지난해보다는 0.4~0.5%포인트 높을 것"이라며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 지난해에 비해서는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계은행은 성장률 하향 조정과 관련해 "미국 대선,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Brexit·브렉시트) 투표 결과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증가,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주요국 경기 둔화 등이 하방 리스크를 키우고 있다"면서 "보호무역주의 부상, 잠재성장률 둔화, 신흥국 취약성 증가 등으로 하방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어 "미국 신(新)정부의 소득세·법인세 감면, 인프라 투자 등 확장적 재정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주요국의 재정정책과 성장촉진 정책은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국가별로 보면 선진국의 경우 정책 불확실성 확대, 대외수요 약화, 생산성 증가율 둔화 등으로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6월 1.9%에서 1.8%로 낮췄다. 미국은 올해와 내년에 완만한 회복세가 예상되는 가운데 신정부의 구체적 정책이 정해지지 않았고 잠재생산성이 하락함에 따라 성장률 전망치를 2.2%로 유지했다.

유로(Euro) 지역은 브렉시트 불확실성, 은행 부실채권 증가 우려, 유가상승에 따른 소비 감소, 재정건전성 우려 등으로 성장률을 1.6%에서 1.5%로 내렸다. 일본은 소비세 인상이 당초 올해 4월에서 10월로 연기되고 공공부문 재정지출 등으로 단기적인 성장률 상승을 예상하고, 성장률 전망치를 0.5%에서 0.9%로 높였다.

신흥·개도국은 원자재 수출국 중심의 성장이 예상되지만 선진국 성장 둔화, 원자재 가격 약세 대응 부족 등에 따라 성장률 전망치를 4.4%에서 4.2%로 조정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6.5%의 전망치를 수정하지 않았다.

세계은행은 각국의 정책방향에 대해 "미국 금리는 상승하더라도 과거 금리인상 시기보다는 상승폭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며, 유럽과 일본은 기대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에 근접할 때까지 완화적인 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선진국의 경우 금융리스크 관리 및 확장적 재정정책, 구조개혁 등 보완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신흥국은 선진국의 통화·무역정책 변화에 따른 실물·금융시장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정책여력 확보와 생산성 제고가 우선적"이라고 덧붙였다.



세종=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