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한 실종사건…남부지방엔 벌써 봄꽃이

소한은 24절기 중 23번째로 '작은 추위'라는 뜻을 갖고 있어

'소한(小寒)'인 5일 부산 해운대구 센텀시티에 있는 한 도로변에 매화가 꽃망울을 터트려 눈길을 끌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소한(小寒)'인 5일 부산 해운대구 센텀시티에 있는 한 도로변에 매화가 꽃망울을 터트려 눈길을 끌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대한이 소한 집에 가 얼어 죽는다'던 소한(小寒) 추위가 이번 겨울엔 실종됐다. 오히려 남부 지방에서는 벌써 계절을 잊은 봄꽃이 폈다.

소한인 5일 아침 최저기온은 서울 영하 0.1도, 대전 영하 0.7도, 대구 영하 1.6도, 광주 2.7도, 부산 6.5도, 제주 8.4도 등 전국적으로 평년보다 2~6도 높게 나타났다. 낮 최고기온 또한 서울 10도, 대전 9도, 대구 8도, 광주 10도, 부산 11도, 제주 13도 등으로 예보돼 있어 포근한 하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소한은 24절기 중 23번째로 '작은 추위'라는 뜻을 갖고 있다. 절기 이름만 놓고 보면 대한 때보다 덜 추울 것 같지만 실제로 소한이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다. 기상청에 따르면 소한 즈음에는 강추위가 몰려오고 때로는 많은 눈이 내리기도 한다.

그러나 따뜻한 날씨로 인해 올해 소한엔 추위 대신 '봄꽃'을 맞이하게 됐다. 부산, 울산, 제주 등 남쪽 지역에는 벌써 개나리, 홍매화 등이 꽃망울을 터트렸다.

기상청은 "약 5㎞ 상공에 따뜻한 공기를 가진 고기압이 알래스카 부근에 정체 중이다. 제트기류가 우리나라 북쪽에 위치하게 돼 차가운 공기가 남쪽으로 내려오는 걸 막고 있다"며 "상층 차가운 공기는 시베리아에서 일본 북동쪽 바다로 이동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중국에서 불어오는 비교적 따뜻한 공기의 영향을 받아 평년보다 높은 기온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이와 같은 고온현상은 주말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9일 알래스카 부근에 위치한 고기압이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시베리아에 있던 차가운 공기가 우리나라 쪽으로 내려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기상청은 9일까지 평년보다 높은 기온을 보이다 10일부터 점차 기온이 내려가면서 다음 주 중반에는 평년보다 낮은 기온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고온현상이 더 지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기상청은 "상층 기압계의 흐름이 정체돼 있어 다음 주 변화시점의 예측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며 "알래스카 부근 고기압의 정체가 길어질 경우 찬 공기가 우리나라로 내려오는 시점이 늦어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