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교과서는 '절충'된 역사"…뉴라이트 학자들도 비난

한국현대사학회, 국정 역사교과서 분석 세미나
"대한민국 '수립' 대신 '건국', '광복'이 아닌 '해방'으로 써야"


8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현대사학회 2016년 현안문제 학술 세미나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에 대한 평가와 자국사 교육의 방향'에서 김영호 성신여대 교수가 발제하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8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현대사학회 2016년 현안문제 학술 세미나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에 대한 평가와 자국사 교육의 방향'에서 김영호 성신여대 교수가 발제하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정부가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에 '대한민국 수립'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지만 이는 사회적 논란을 피하려 한 단어 선택일 뿐 '대한민국 건국'으로 쓰는 것이 맞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정교과서에 쓰인 '광복' 역시 '해방'으로 기술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뉴라이트 계열 역사학회인 한국현대사학회는 8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에 대한 평가와 자국사 교육의 방향' 세미나를 열고 이같은 논의를 나눴다.

이 자리에서 김영호 성신여대 교수는 "국정교과서가 대한민국 수립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기존 검인정 교과서의 잘못을 바로잡고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더욱 분명히 한 것"이라면서 "하지만 역사에서는 절충이란 있을 수 없는 만큼 건국이라는 정확한 개념적 용어로 서술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대한민국은 1919년 건국된 것이 아니라 3·1운동과 임시정부의 독립정신을 계승해 1948년 건국된 것으로 봐야 한다"며 "건국이라고 써야만 자유민주주의 이념에 기초해 민주공화국이라는 새로운 근대국민국가가 탄행했다는 의미를 더욱 선명하게 부각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그는 또 "국정교과서가 건국이라는 표현을 쓸 경우 '건국절'을 기정사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 때문에 건국 대신 수립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면 이것 또한 역사학자로서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양동안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역시 국정교과서가 '수립'이 아닌 '건국'이라는 표현을 사용해야 했다고 주장했다.

양 명예교수는 "국정교과서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논쟁을 피하려다 보니 건국이라는 용어를 기피하고 수립이라는 용어를 택하는 절충주의적 태도를 보였다"며 "대한민국 건국을 주도한 지도자와 세력이 누구인지, 이들은 무슨 목적, 어떤 이념으로 건국을 추진했는지 설명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국정교과서가 현대사 기술에 대해 유난히 적은 지면을 배정한 것도 문제 삼았다. 조선시대 역사 기술에 배정된 지면이 89쪽, 독립운동 기술에 배정된 지면이 43쪽인 점에 비춰보면 해방 이후 역사 기술에 배정된 지면이 49쪽에 불과한 것은 이 부분의 역사에 대한 논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축소시킨 것이라는 지적이다.

양 명예교수는 또 "1945년 8월15일은 광복이 아닌 해방으로 썼어야 한다"며 "광복이라는 용어는 우리가 일본에게 주권을 빼앗긴 후 독립운동가들이 사용해 온 말이지 당시 국제적 문서나 미국·소련 점령군 지휘관들의 발언에는 해방을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양 명예교수는 "해방을 광복으로 잘못 기술한 것은 이번 교과서 집필자들만의 잘못은 아니지만 현재의 집필자가 이를 올바로 고쳐 기술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는 과오는 지적받아야 한다"며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확고히 했다는 교육부의 주장과 달리 국정교과서는 아직도 보완해야 할 '결손 교과서'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