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진통] 한진해운 사측 "인력 350명 잘라야" vs 노측 "고용승계 해야"

[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 회생과 청산의 갈림길에 서 있는 한진해운 이 인력 구조조정으로 진통을 겪고 있다. 전체 인력의 절반 이상을 줄이는 구조조정 시기와 고용승계 규모를 놓고 노사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19일 해운업계 등에 따르면 한진해운과 한진해운 육상노조는 전날 오후 3시 첫 노사협의회를 열어 구조조정 방안에 관해 논의했다. 사측에서는 이영근 인사담당 상무와 법원측 참관인 등 6명이, 노조측에서는 장승환 육상노조위원장을 비롯한 대표자 6명이 참여한 가운데 조율을 벌였다.
[구조조정 진통] 한진해운 사측 "인력 350명 잘라야" vs 노측 "고용승계 해야" 원본보기 아이콘

이날 협의회에서 사측은 운영자금 고갈로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해졌다며 11월 초 정리해고 예고 후 12월 초 근로관계를 종료하는 정리해고 계획을 노조측에 전달했다. 자금 사정상 희망퇴직 방식의 구조조정은 어렵다는 입장도 밝혔다.

법정관리 중인 한진해운은 주력 노선인 아시아~미주 노선에 대한 영업권 매각을 추진 중이다. 한진해운은 이 영업권을 넘겨받는 기업으로 승계될 인력 300명만 남기고 전체 인원의 절반 이상인 350명을 잘라내겠다는 방침이다. 이 회사의 육상근로자 수는 임원을 제외하고 10월 기준 총 650명이다.

노조 측은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점은 공감하지만 구조조정 시점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다. 현재 남아있는 직원 650명 모두에게 고용승계 가능성을 열어주기 위해서는 인력 구조조정은 영업양수도 M&A 이후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실제적인 해고회피 노력없이 단순히 직원의 희생만을 강요하는 감원은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반박했다. 장승환 한진해운 육상노조위원장은 "자산매각, 임금동결, 주재원감축, 임원 임금반납 등 자체적인 해고회피 노력을 다했다고 말하고 있으나 사측의 노력이 와닿지 않는다"면서 "그룹사로의 직원승계나 동종업계 재취업 알선 등 실제적인 노력을 보여달라"고 말했다.

한진해운의 육상노조는 선원 등 해상직원을 제외한 본사나 해외지점 근로자들로 구성됐다. 지난 12일 설립인가가 떨어진 육상노조는 법정관리를 전후해 꾸려지면서 현재까지 모집된 조합원 수가 380명에 불과하다. 조합원 수 미달로 현재로서는 쟁의행위 등 단체행동권이 제한돼 있다.

업계 관계자는 "단체행동권을 행사할 수 없는 노조는 사측과 대치할 수 있는 '카드'가 사실상 없다"면서 "회생과 청산의 갈림길에 선 상황에서 노조가 강경대치에 나서기 쉽지 않은 만큼 사측이 재취업 알선 등 최소한의 노력을 보이고 노조측이 이를 수용하는 수순으로 가지 않겠냐"고 내다봤다.

노사 양측은 오는 20일 오후 3시 2차 협의회를 열어 구조조정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