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브레인을 만나다]오염된 땅에 희망을 심다

정준교 현대건설 연구개발본부 물ㆍ환경연구팀장
장항제련소 중금속 오염토양 7만2000㎡ 정화시켜…"이제는 농작물 자라나 뿌듯"
싱가포르·중동 등 유류오염 토양 정화시장 전망 밝아…"글로벌 기술력 키워야"


정준교 현대건설 연구개발본부 물·환경연구팀장

정준교 현대건설 연구개발본부 물·환경연구팀장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2007년 충남 서천에서는 섬뜩한 소식이 전해졌다. 장항제련소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집단적으로 암이 발병했다는 것이다. 일제시대 조선총독부에서 운영한 조선제련소를 시작으로 89년 용광로가 폐쇄될 때까지 운영됐던 장항제련소. 한 때 높은 굴뚝이 랜드마크로 여겨질 정도였지만 중금속 오염 토양의 치명적인 위험을 잉태하고 있었던 셈이다. 정부는 2009년부터 이 일대를 매입해 국내 최대규모의 정화사업을 벌였다. 정화사업을 진행한 업체 중 한 곳이 현대건설이다. 현대건설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정화기술을 통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약 7만2000㎡의 땅에 스며있던 오염물질을 없앴다. 정준교 현대건설 연구개발본부 물ㆍ환경연구팀장(부장)은 이 사업을 진두지휘한 주인공이다. 정 팀장은 이 일을 마친 소감을 "보람을 느꼈다"는 말로 표현했다. 정화사업의 힘든 과정보다는 작업을 완료한 지 채 2년이 안 된 상태에서 농작물이 자라나는 것에 의미를 뒀다. 그는 "많은 사람들이 알지는 못하지만 과거 오염됐던 땅에 정화되고 개발되는 걸 보면 그 바닥에 우리의 노력과 정성이 쌓였다는 자부심을 느낀다"고 했다.

토양 정화사업 현장은 흔히 알고 있는 건설ㆍ토목사업 절차와는 다르다. 토양의 오염원인에 따라 처리를 달리해야 한다. 특정한 오염원을 처리할 기술을 개발하는데만 4~5년이 걸린다. 사업자로 선정되면 문헌조사부터 실시하고 소규모 실험으로 효과를 확인한 후 현장에서 작업에 들어간다. 정 팀장이 속한 물ㆍ환경연구팀은 중금속은 물론 유류나 유기화학물, 방사능 등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방안을 연구한다. 장항제련소의 경우 비소(As)와 카드뮴(Cd) 같은 중금속과 토양의 입자를 분리해야 했다. 정 팀장은 물리ㆍ화학적 처리기법을 동원, 원심력을 이용해 입자와 중금속을 분리했다. 이 과정에서 흙 알갱이가 작을 수록 오염농도가 짙다는 점을 고려해 다단계 분리법을 사용했다. 정 팀장은 "장기간 중금속에 오염된 토양은 매우 강하게 붙어있다 보니 제거해내는 데 애를 먹게 된다"며 "상황에 따라 물을 쓰거나 약품, 유기용매를 써야 하는데 여기서 기술력이 좌우된다"고 설명했다.

현장에서는 오염토를 굴착, 운반, 야적한 뒤 정화 후 되메운다. 현장에서는 특별한 안전수칙을 지켜야 한다. 오염된 흙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토공사에 따르는 안전수칙은 기본이고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을 차단하고 화학약품을 처리할 때 지켜야 하는 안전수칙이 부가된다. 정 팀장은 현대건설의 토양정화 사업 대부분에 참여했다. 2001년부터 시작된 경기 광주시 비위생 매립지 정비사업부터 인천공장 폐석회 매립공사, 일본 키탸큐슈 불소오염토 처리, 태안 준설토 세척정화공사 등이다. 지금은 싱가포르 주롱도시공사(JTC)에 해안 준설토 연구개발(R&D) 사업을 제안해 실증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세계 유수의 업체와 경쟁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춰 해외시장으로 영역을 넓히는 것이 목표다. 정 팀장은 "쿠웨이트의 경우만 해도 약 30억달러 규모의 정화사업 시장이 조성돼 있다"며 "수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연구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