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매장 대신 온라인서 산다…1분기, 명품 해외직구 객단가 50% '↑'

샤넬 클래식 플랩백 은장(사진출처= 샤넬 공식 홈페이지)

샤넬 클래식 플랩백 은장(사진출처= 샤넬 공식 홈페이지)

원본보기 아이콘

올해 1분기 이베이츠 이용자들의 명품직구 객단가 50% 이상 증가, 400달러 넘어서
지난해 ‘매치스패션’과 ‘네타포르테’ 등 해외 명품 사이트 소비액 최대 62% 급증


[아시아경제 임혜선 기자]올 1분기 해외 직접구매(직구)를 이용해 명품을 산 소비자들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캐시백 사이트 이베이츠는 올 1분기 이베이츠 이용자들의 명품 해외직구 객단가(고객 1인당 매출)가 전년 동기대비 50.7% 상승, 최초로 400달러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전체 이베이츠 이용자들의 해외직구 객단가가 같은 기간 9% 상승, 150달러대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그 중에서도 특히 명품 사이트인 '파페치(597.79달러),' '육스(530.35달러)'등이 높은 객단가 상승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명품직구의 성장세는 지난해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베이츠를 통해 해외 명품 사이트인 '매치스'와 '네타포르테'에서 구매를 진행한 국내 소비자들의 소비액은 각각 2014년 대비 지난해 62.1배, 37.5배 등 큰 폭으로 증가한 바 있다.임수진 이베이츠 이사는 "최근에는 백화점에 입점한 유명 명품보다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나만의 명품'을 해외직구로 구매하는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며 "이전에는 샤넬과 에르메스 등의 고가 명품만 선호했다면, 최근에는 유럽에서 유행하고 있는 모스키노, 톰 브라운, 골든구스와 같은 젊은 디자이너 브랜드들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임 이사는 또 "한국에서는 이러한 브랜드들이 편집샵 위주로 소량 입고돼 있고 가격도 해외직구보다 최소 25% 정도 비싼 만큼, 해외직구를 통한 명품 구매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