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봉 기쁨보다 허탈감"…정부, 상봉 후유증 심리치료

제2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1회차 마지막날인 22일 오전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열린 작별상봉 행사에서 이정숙(68)씨가 아버지 리흥종(88)씨의 눈물을 닦아주고 있다. (사진=금강산 공동취재단)

제2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1회차 마지막날인 22일 오전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열린 작별상봉 행사에서 이정숙(68)씨가 아버지 리흥종(88)씨의 눈물을 닦아주고 있다. (사진=금강산 공동취재단)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만나고 왔다는 기쁨보다 남은 생은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이 더 클 것 같습니다."

북녘의 아버지 리흥종(88)씨를 65년만에 만난 이정숙(68)씨는 남쪽으로 돌아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도 그럴 것이 이씨의 아버지는 지난 이산가족 상봉에서 '애수의 소야곡', '꿈꾸는 백마강' 등의 노래를 부르며 애틋한 부녀상봉을 연출했었다.이씨의 말처럼 이산가족 상봉 때 떨어졌던 가족과 절절한 만남을 하고 돌아온 이산가족 상당수가 상봉 후유증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을 만난 뒤 찾아오는 상실감과 허탈함이 무기력증으로 이어지는 것인데 심신이 쇠약한 고령 이산가족이 많아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지난해 2월 설 상봉에서 꿈에 그리던 북측 아들과 딸을 만난 당시 91세의 김섬경 할아버지는 상봉 44일만에 건강이 악화돼 사망하기도 했다. 이번 상봉행사에서도 1차 상봉 때는 단 1명만 구급차를 타고 귀환했으나 고령자가 많았던 2차 상봉에서는 5명이 구급차를 타고 금강산에서 돌아왔다.이에 따라 정부는 26일 종료된 제2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참가자에 대해 '심리·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로 했다.

심리상담사와 자원봉사자가 1차 상봉단 398명과 2차 상봉단 254명 등 상봉자 전원의 가정을 직접 방문해 상봉행사 이후 이산가족의 심리상태를 파악, 심리적 안정을 돕는 치료를 병행할 예정이다.

북측 가족과의 만남 이후 심리상태가 불안정한 이산가족에 대해서는 지역사회 전문병원과 연계하여 지속적인 심리치료 및 관리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산가족의 상봉 후유증을 치유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북측 가족과의 서신 교환 등 지속적인 왕래와 상봉 정례화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