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육청 '종합감사' 6년만에 부활한다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교육청이 교육현장 중심으로 감사시스템을 확 뜯어고친다. 또 지도목적의 종합감사를 내년 상반기 다시 부활한다. 종합감사는 매년 도내 학교의 10%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경기교육청은 감사를 받는 교육현장의 부담을 덜어주고 존중과 배려하는 감사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감사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 운영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경기교육청은 이에 따라 학교가 상대적으로 바쁜 학기말(2월)과 학년 초(3월)에는 종합ㆍ특정감사를 제외하는 '감사 오프기간'을 운영한다.

또 사전에 수감기관과 감사기간을 협의하고, 수감기관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사항을 안내한다. 아울러 감사 후에는 수감기관 관계자와 의견을 교환하는 등 소통과 배려의 감사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10대 과제도 선정, 추진하기로 했다.

경기교육청은 감사자료 작성에 대한 교육현장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e-DASAN시스템'도 도입한다. 기존 ICT감사시스템을 개선해 내년부터 e-DASAN시스템에서 추출한 금융거래와 에듀파인의 자료를 감사자료로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또 2010년 9월 이후 중단된 '각급 학교에 대한 종합감사'를 다시 시작한다. 잘못된 관행을 답습하는 학교업무의 향상을 도모하는 '지도적 감사'가 목적이다. 올 하반기 시범운영 후 2016년부터 전면 시행하며, 매년 전체 학교의 10%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특히 객관적이고 공정한 감사를 위해 외부 감사인력을 확충한다. 시민감사관의 참여를 확대하고 사학, 학교설립 등 특정분야의 인력풀을 구성해 운영한다. 감사에 지적받지 않기 위한 소극적 행정 등 감사의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행정 면책제도'도 도입한다. 경기교육청은 이외에도 반복 지적사항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감사결과 공유와 환류를 강화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해 적극 전파하기로 했다.

김거성 경기교육청 감사관은 "감사 시 의견제출의 기회를 충분히 부여하고 감사를 받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기울여 소통하는 감사문화를 조성하겠다"며 "앞으로 감사를 두려워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일하는 교육현장이 되도록 분위기 조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