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10대 중 7대 '독일산'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에서 팔린 수입차 10대 중 7대는 독일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차 전체 판매량의 80%가 유럽차인 점을 감안하면 독일차 비중은 더욱 높아진다.

올 상반기 국내 시장에서 수입차 판매(디젤) 1위에 오른 폭스바겐 티구안 /

올 상반기 국내 시장에서 수입차 판매(디젤) 1위에 오른 폭스바겐 티구안 /

원본보기 아이콘
23일 한국수입차협회와 업계 등에 따르면 상반기 국내 신규 등록 수입차 11만9832대 중 유럽차는 80.7%인 9만6669대로 조사됐다. 81%를 기록했던 지난해보다는 소폭 줄었지만 2년 연속 80%를 넘어섰다.유럽차 판매 돌풍은 독일차 업체들이 이끌고 있다. BMW와 벤츠, 폭스바겐, 아우디 등 독일 대표 브랜드들이 8만2443대를 팔아치우며 전체 수입차 판매량의 69%를 차지했다.

특히 독일차 4사는 올 상반기 수입차 판매량 1~4위에 나란히 오르며 성장세를 주도했다. BMW는 사상 최대인 2만4206대를 팔며 점유율 20%를 지켰고 벤츠 역시 처음으로 2만대를 넘어선 2만2923대를 기록해 2위에 올랐다. 이어 폭스바겐과 아우디도 각각 1만8635대, 1만4559대를 판매하며 3~4위를 기록했다.

독일차들은 베스트셀링카 부문도 휩쓸었다. 디젤 부문에서는 1위(폭스바겐 티구안)부터 10위(BMW 118d)까지 독일차들이 모두 차지했고 유럽차들이 약세를 보이고 있는 가솔린 부문에서는 벤츠 C, E, S 클래스의 활약으로 6개 모델이 순위에 올랐다.이밖에 랜드로버와 재규어를 앞세운 영국차는 지난해보다 52%나 늘어난 8608대를 팔았고 푸조를 대표로 한 프랑스차 역시 111%라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3268대를 판매했다.

반면 일본과 미국차는 정체기를 겪었다. 2008년까지 렉서스와 토요타, 혼다를 필두로 점유율 30% 중반대를 지켜내던 일본차들은 최근 2~3년간 줄곧 11%대에 머물고 있고 미국차도 포드 판매량이 소폭 늘었을 뿐 전체 판매량에는 큰 변화를 주지 못했다.

업계 관계자는 "독일차 업체들은 상반기부터 신차 공세를 통해 판매량을 꾸준히 늘려왔다"며 "하반기에도 신차 출시가 줄줄이 예정된 만큼 국내 완성차 업체들과의 새로운 점유율 경쟁이 펼쳐질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