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신뢰 생태계] 1. 언론은요?…신뢰 바닥, '팩트'는 선택 아닌 존재 이유

[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한국 언론의 신뢰도도 바닥이다. 매체의 난립과 속보 경쟁이 빚은 필연적인 결과다.

매년 언론 수용자 의식조사를 하고 있는 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언론의 신뢰도는 5점 만점에 3.28점에 그쳤다. 방송, 신문, 통신, 인터넷 등 전 매체의 신뢰도가 전년에 비해 더 떨어졌으며 이 중 4점을 넘는 곳은 한 곳도 없었다.전통적으로 언론은 정보 제공, 여론 형성, 의제 설정, 권력 감시의 기능을 해왔다. 그러나 언론 자체의 신뢰도 하락으로 이런 기본적인 기능마저 퇴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고 싶어하는' 대중에게 '알려 주는' 역할을 하는 언론이 이제라도 정확한 정보와 공정한 시각을 제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동률 서강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정치권에서 비롯된 저신뢰가 한국 사회 전반으로 전염된 측면이 크므로 저신뢰 사회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정치권이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며 "아울러 이를 전파하는 언론 또한 이른바 '카더라 방송', 팩트에 근거하지 않은 '유비(유언비어) 통신'으로 저신뢰 사회를 더 악화시킨 것을 부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원론적이지만 언론이 신뢰를 높이는 길은 팩트에 입각한 기사밖에 없다고 못 박았다. 김 교수는 "뉴욕타임스가 '세계의 신문(The Newspaper of the world)'으로 존경받는 것은 팩트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오보가 날 경우에도 자구책과 재발방지책을 마련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매체 경쟁과 속보 경쟁 속에서 한국 언론도 팩트에 근거한 기사로 승부하지 않으면 신뢰 사회의 가교 역할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꼬집었다.사회적 공기(公器)로써의 언론이 신뢰 사회 구축의 가교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언론 본연의 기능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원 경희대 언론정보대학원 교수도 "정부 정책은 의도된 방향이 있는데 사람들이 믿어주지 않으면 정책 결정ㆍ집행 과정에서 정책에 순응하지 않게 되고 결국 정책 목표를 달성할 수 없고 정책 효과도 거둘 수 없다"고 우려했다. 정부 정책의 신뢰도 향상에 정부 자체는 물론이고 중간에 있는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이어 "국가경쟁력지수는 결국 정부나 기업, 사회 전반적으로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되느냐를 말하는데 불행하게도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는 언론이 불신을 조장한 측면이 없지 않았다"며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중립적인 언론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