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폴리 시민공청회’ , 17일 광주비엔날레 거시기홀서 개최

"시민과 함께하는 제3차 광주폴리 본격화"
"제 2기 광주폴리시민협의회 발족…시민 사회 창구 역할"


[아시아경제 노해섭 ]3차 광주폴리 추진 방향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광주폴리 시민공청회가 열린다. 이에 앞서 3차 광주폴리와 시민들의 소통 채널인 제 2기 광주폴리시민협의회도 꾸려지는 등 3차 광주폴리 사업이 본격화됐다. (재)광주비엔날레는 오는 17일 오후 2시 ‘광주폴리 시민공청회 - 3차 프로젝트의 향방’행사를 광주비엔날레 거시기홀에서 개최한다.

3차 광주폴리 추진에 앞서 지역사회 여론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된 시민공청회는 2차 광주폴리 운영 평가 결과 보고, 3차 광주폴리 방향 발제, 라운드테이블, 리셉션 순으로 진행된다.

시민 문화 단체 관계자, 예술 및 건축 분야 전문가,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해 광주시의 대표 문화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광주폴리에 대한 의견과 발전 방향 등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시민공청회 좌장은 제 2기 광주폴리시민협의회 회장인 천득염 전남대 건축과 교수가 맡았다. 발제에 앞서 광주폴리 2차 운영평가단으로 활동했던 이기훈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상임이사가 ‘광주폴리 2차 운영평가’에 대해 보고하는 자리를 갖는다.

이어 이민석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와 류영국 한국도시설계학회 광주전남지회장이 3차 광주폴리의 방향성에 대해 각각 발제한다.

3분 스피치 및 자유토론 형식의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폴리도슨트,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파트너, 폴리 작품 인근 주민, 주민자치위원장, 시민단체, 예술가, (재)광주비엔날레 광주폴리부 직원 등 9명이 참석해 광주폴리 운영 및 활성화 과정 속에서 느낀 점, 발전 방향, 광주폴리에 대한 단상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리셉션 시간에는 폴리 작품 인기투표 등 다양한 이벤트가 펼쳐진다. 이에 앞서 제 2기 광주폴리시민협의회가 지난달 13일 제문헌 3층 회의실에서 위촉식을 갖고 본격 활동을 시작했다.

광주광역시와 (재)광주비엔날레가 공동 추진하는 3차 광주폴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시민사회와의 소통 채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새롭게 꾸려진 제 2기 광주폴리시민협의회는 3차 광주폴리의 완공 및 평가가 끝날 때 까지 활동하게 된다.

제 2기 광주폴리시민협의회의 주요 기능 및 역할은 △폴리 총감독 후보자 선정 논의 △폴리 주제 및 장소 선정 논의 △폴리 유지 관리 및 활성화 방안 논의 △시민 참여 방안 및 폴리 발전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 △기타 폴리사업과 관련 사항 자문 등이다.

제 2기 광주폴리시민협의회는 건축·문화·예술·관광·언론·시민단체·도시계획 등 각계각층 15인으로 구성됐다.

제 2기 광주폴리시민협의회 위원은 박양우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를 포함해 강신겸(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강필서(공간건축사사무소 건축사), 김용준(우리디자인팩토리 대표), 남승진(동아인재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류영국(한국도시설계학회 광주전남지회장), 문기전(광주YMCA 관장), 전진숙(광주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 위원), 박동준((주)그룹포에이 건축사사무소 대표), 박상호(조선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박정용(전남대학교 미술학과 외래교수), 여균수(광남일보 논설실장), 오세철(광주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이기훈((재)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상임이사), 천득염(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등 15인이다. 광주건축사협회, 도시계획·설계학회, 시민단체협의회, 광주상공회의소, 문화도시협의회, 광주예총, 광주미협 등의 유관단체 및 전문가 추천 등을 거쳐 선정됐다.

한편 (재)광주비엔날레는 대학생의 올림픽인 광주유니버시아드대회와 맞물려 7월 4일부터 13일까지 금남로 일대에서 열리는 녟세계청년축제(이하 청년축제)’에서 전 세계 청년들에게 광주폴리를 알릴 수 있도록 청년단체 등과 함께 다양한 행사를 함께 펼칠 계획이다.


노해섭 기자 nogar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