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환, 해외공략 작전변경 들어갔다

태스트포스팀 구성…동남亞 주목

김용환 NH농협금융 회장

김용환 NH농협금융 회장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승종 기자] "이대론 안 된다. 해외시장 공략 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라."

김용환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이 해외시장 공략에 시동을 걸었다. 지주의 기존 해외진출 계획을 새롭게 짜기 위해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키로 했다. 김 회장은 동남아시아를 주목하고 있다.11일 농협금융에 따르면 김 회장은 취임 직후인 지난달 지주 계열사의 해외진출 계획을 보고받았다. 기존대로 주재원→사무소→지점ㆍ법인 설립 순서를 따르자는 계획을 보고 김 회장은 고개를 저었다. 기존 계획으론 해외 현지 진출에만 4~5년이 걸린다. 김 회장은 글로벌 금융시장에선 속도가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김 회장은 지난해 옛 우리투자증권 인수로 덩치가 커진 NH투자증권 을 주목했다. NH투자증권은 베트남, 홍콩,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 10여개 해외 국가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 여기에 축산경제 등 농협경제의 해외 인프라까지 더하면 해외진출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김 회장의 지시에 따라 이달말 지주에 꾸려지는 글로벌전략팀은 은행과 증권, 손보와 생보 등 자회사에서 인력이 차출된다. 기존 해외 네트워크와 연계해 해외공략에 속도를 올리는 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계열사들과의 시너지 도출 해법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렇게 된다면 현재 해외지점이 뉴욕뿐인 농협은행의 해외 진출에도 탄력이 붙은 전망이다.특히 김 회장은 동남아시아의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남아는 다른 은행들도 해외진출 시 1순위로 올려놓는 시장이다. 국내 순이자마진(NIM)은 1.5% 수준이지만 인도네시아의 경우 6%까지 노려볼 수 있다. 해외진출과 수익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셈이다.

금융당국 역시 금융권의 동남아 진출을 독려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동남아는 금융 수요는 많은데 자본 조달은 부족한 상황"이라며 "우리 금융권이 진출해서 할 역할이 많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최근 금융지주 임원들과의 간담회에서 "해외진출 규제는 최선을 다해서 풀 테니까 성공사례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현재 답보 상태인 국가별 해외진출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승종 기자 hanar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