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900억 '융복합 콘텐츠 전문펀드' 조성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문화체육관광부가 융·복합 콘텐츠가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체계로 구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900억원 규모의 ‘융합콘텐츠 전문펀드’를 조성한다.

문체부는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주식회사 시제이(CJ)와 협의해 400억원 규모의 ‘기획개발단계 융합콘텐츠 펀드’를 조성하고 이와함께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 금융위원회 등과 부처 간 협업을 통해 500억 원 규모의 ‘문화-정보통신기술 융합 분야 펀드’도 마련한다고 29일 밝혔다. 문체부는 문화콘텐츠 분야 유망 프로젝트 및 창업·벤처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을 위해 지난 2월 11일 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식에서 관계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융합콘텐츠 펀드의 투자 대상은 문화기술(CT) 기업 및 문화기술이 활용된 콘텐츠로, 이는 기존 문체부 펀드가 영화, 공연, 전시, 드라마 등 특정 장르에 투자해왔던 것과 차별화된다. 기존엔 프로젝트 위주로 투자해 왔으나, 융합콘텐츠 펀드는 기업에 대한 투자로 그 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이번 융합콘텐츠 펀드의 투자대상과 투자방법은 펀드의 수익률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 문화계정 펀드의 주요 투자방법이었던 프로젝트 투자의 경우, 투자 후 회수기간이 빠르다는 장점은 있으나 회수 방법이 제한돼 수익률이 제한적이었다. 문체부 관계자는 "융합콘텐츠 펀드의 투자대상인 문화기술(CT)은 콘텐츠를 제작할 뿐만 아니라 유통 환경까지 변화시켜, 새로운 콘텐츠 장르나 사업모델을 만들어내며 문화산업 발전을 이끌어가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분야"라며 "기업투자가 활성화될 경우 상장, 인수합병(M&A)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회수가 가능함에 따라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융합콘텐츠 펀드는 콘텐츠 기업 입장에서도 자금 조달이 쉬워질 수 있다. 동일 펀드에서 지분 투자와 프로젝트투자를 동시에 유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자금 조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시너지가 창출될 것이란 전망이다.공연·음원 및 재무적 출자 분야는 사전에 벤처캐피탈의 의견을 수렴해 출자 조건을 일부 변경했다. 우선 위험부담은 크고 수익률은 낮은 현 산업의 특성상 정부 출자비율을 상향했다. 또한 재무적 출자자 분야에서는 재무적 투자자(금융기관 등 문화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지 않는 회사) 모집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해 수시출자 사업을 통해 운용사를 선정할 계획이며, 출자의무 금액도 일부 축소했다.

올해 출자사업의 세부적인 출자기준 및 규약 관련 내용은 30일 ㈜한국 벤처투자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