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군기문란 얼룩진 해군 '7대 윤리지침' 제정

해군은 성군기위반사고를 차단하기 위해 올해 8월 중순께부터 회식 지킴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해군은 성군기위반사고를 차단하기 위해 올해 8월 중순께부터 회식 지킴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해군이 '명예해군 7대 윤리지침'을 제정하고 '제2의 창군' 수준의 문화 혁신 운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29일 해군에 따르면 방위사업 비리와 군기 문란 사건으로 얼룩진 해군이 적폐의 원인인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문화를 바꾸기 위한 취지로 해군ㆍ해병대 장성단및 병과장 워크숍을 이날 개최하기로 했다. 워크숍에는 작전지휘관을 제외한 해군ㆍ해병대 장성, 병과장뿐 아니라 이들의 부인들까지 포함해 약 140명이 참석했다. 간부 부인들도 문화 혁신 운동의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직접 교육에 나선 정호섭 참모총장은 "최근 방산 비리, 부적절한 행위로 인한 사건사고는 어느 한 사람의 문제가 아닌 우리 모두의 책임"이라며 "해군이 폐쇄적, 배타적인 문화를 떨쳐내지 못해 국민을 지켜야 할 조직이 오히려 국민이 걱정하는 조직이 됐다"고 개탄했다. 정 총장은 "국가 재물과 인력은 어떤 경우에도 사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비리, 성폭력에는 무관용 및 '원아웃'이라는 엄격한 윤리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해군은 이달 '명예해군 7대 윤리지침'을 제정해 전 부대에 내려보냈다. '명예해군 7대 윤리지침'은 공무원 행동강령, 군인복무규율, 해군규정, 참모총장 지시사항 등을 근거로 제정한 것으로 '▲국가자산(인력ㆍ재물)을 절대 사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 금품을 수수하거나 부당이익을 취하지 않는다. ▲ 공공예산을 절대 부정하게 사용하지 않는다. ▲ 인사를 문란하게 하는 행위를 일체 하지 않는다.▲ 군인으로서 품위를 위반하여 사회적 물의를 야기하지 않는다. ▲ 직권을 남용하는 행위를 하지 않는다. ▲ 조용하게 내조하는 건전한 해군 가족문화를 정착한다.'이 포함됐다.

해군은 해군 특유의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문화를 일신하고자 해군사관학교 출신과 함정 병과 중심의 인사 관행을 탈피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해군은 해사 출신이 아닌 장교의 주요 직위 보직을 늘리고 기술ㆍ행정병과 장교의 함정ㆍ정책 부서 배치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해군은 육상 근무 중령 이상, 해상 근무 소령 이상 간부들은 매년 두 차례 하급자의 리더십 평가를 받도록 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