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제특허출원건수 5년 연속 세계 5위

특허청, ‘WIPO 2014년 잠정 통계’ 자료 분석…지난해 PCT 국제특허출원 1만3151건으로2013년보다 6.2%↑, 삼성전자 1381건으로 세계기업 중 11위, 서울대 10위 차지해 눈길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우리나라 국제특허출원건수가 5년 잇달아 세계 5위를 차지했다.

특허청은 지난해 특허협력조약(PCT)을 통한 우리나라의 국제특허출원건수는 1만3151건으로 2013년(1만2386건)보다 6.2% 늘며 5년 연속 세계 5위를 했다고 23일 밝혔다. 최근 UN 아래 세계지식재산기구(WIPO)가 발표한 ‘2014년 잠정 출원통계 자료’에 따른 것으로 우리나라의 국제특허출원건수는 세계 전체(21만5000건)의 6.1%를 차지했다.

1위는 6만1492건(28.7%)을 출원한 미국이며 일본(4만2459건), 중국(2만5539건)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세계 전체 출원건수는 중국의 두 자리 수 증가(18.7%)와 함께 미국, 우리나라의 출원증가에 힘입어 2013년보다 4.5% 늘었다. 전체 증가건수 중 미국, 중국, 우리나라의 증가건수가 9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기업별 출원건수는 중국 회사인 화웨이(Huawei)가 3442건으로 1위, ZTE가 2179건으로 3위를 차지하는 등 중국 정보통신기업들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우리나라 기업 중에선 삼성전자가 2013년보다 183건이 는 1381건으로 11위를 했다.

교육기관별론 캘리포니아대, MIT 등 미국대학이 1위부터 9위를 휩쓴 가운데 서울대가 92건을 출원해 미국에 있지 않은 교육기관으론 유일하게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상위 50개 교육기관들 중 서울대(10위), 고려대(18위), KAIST(24위) 등 우리나라 대학이 7개나 차지해 연구개발(R&D) 및 지재권출원에 높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마드리드조약에 따른 국제상표출원도 해마다 느는 가운데 지난해 7월 가입해 출원하기 시작한 헤이그조약에 따른 국제디자인출원은 삼성전자의 본격적인 출원(40건)에 힘입어 가입 6개월 만에 61건을 출원했다.

엄태민 특허청 다자기구팀장(과장)은 “우리나라가 세계 3위의 디자인출원 대국인 점을 감안하면 올해 헤이그조약에 따른 국제디자인출원은 크게 늘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