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나빠졌다 67.4%"…금융신뢰도 9개 항목 중 '꼴찌'

금융硏, 금융신뢰지수 발표, '우리나라 경제상황 인식' 55.4점

(자료:금융연구원)

(자료:금융연구원)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우리나라 경제상황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신뢰도를 측정하는 9개 항목 중 꼴찌로 떨어졌다.

11일 한국금융연구원이 발표한 'KIF 금융신뢰지수'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상황 지수는 금융신뢰지수를 구성하는 9개 항목 중 최하위인 55.4점으로 나타났다. 지수가 100이면 중립, 100보다 크면 긍정적 답변이 많고 100보다 적으면 부정적 답변이 많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응답자별로는 반년전에 비해 경기가 '나빠졌다'는 반응이 67.4%, 좋아지지도 나빠지지도 않았다는 응답은 25.4%를 차지했다. 좋아졌다는 답은 4.3%에 불과했다. 이에따라 지난해 하반기에 비해서 BSI 환산점수는 무려 13.5점이나 하락했다.

나머지 항목은 금융감독기관의 효율성, 정부 금융정책 적정성, 금융감독기관 소비자 보호 노력, 금융회사 경영상태, 금융제도의 공정성과 합리성, 개인 경제사정, 금융종사자 신뢰도, 금융회사 고객서비스 순으로 점수가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기관의 효율성을 묻는 질문에는 부정적인 의견 축소폭(0.6%p)이 긍정적 의견 축소폭(0.4%p)보다 컸다. '전혀 그렇지 않다'는 강한 부정 비중은 0.5%p 늘면서 BSI 환산점수가 0.4점 떨어져 60.9점을 기록했다. 서병호 한국금융연구원 박사는 "지난해 하반기 9위에서 8위로 한 단계 상승했는데 지난 조사 때 8위를 기록했던 우리나라 경제상황 점수가 크게 하락했다"고 말했다.

정부의 금융정책 적정성에는 부정적 응답 비중(57.1%)이 6개월 전보다 7.1%p 확대됐다. 긍정적 의견 비중은 4.5%p 줄어들어 BSI환산 점수는 9.6점 떨어진 66.5점을 나타냈다.

금융감독기관의 소비자보호 노력에 대한 인식도 좋지 않았다. 반년 전에 비해 긍정적 의견 비중은 0.8%p 줄어들고 부정적의견 비중도 1.2%p 늘어 BSI 환산점수도 2.2점 떨어져 72.1점을 나타냈다.

한편 이를 종합한 우리나라 금융에 대한 전반적 신뢰도는 86.2점으로 6개월 전보다 3.3점이 떨어졌다. 긍정적 답변 비중이 14.1%, 부정적 응답 비중은 34.9%로 나타났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