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유로=1달러' 눈앞에..고민 깊어지는 한은

자료=하이투자증권

자료=하이투자증권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장현 기자] 유로화 가치가 빠르게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2분기 중 '1유로=1달러'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여 한국에도 정책금리 인하 압력이 심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8일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 4일 종가 기준으로 달러/유로 환율은 1.1078달러로 1월 유럽중앙은행(ECB)의 양적완화(QE) 발표 후 약 2.5%까지 절하됐다. 지난해 말에 비해서는 8.4%의 가파른 절하 폭을 기록 중이다.양적완화 결정 외에 유로화 약세 폭이 이렇게 확대되는 배경에는 미국과 유로간 통화정책 차별화가 존재한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경우 유럽과 달리 경기회복을 바탕으로 정책금리 인상 논란이 확산되고 있어 달러화 강세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미국과 유로존간 금리 격차 확대는 유로화 캐리 트레이드를 더욱 활성화시키면서 유로화 약세 현상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박 연구원은 "유로화 약세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예상보다 빠르게 2분기 중 1유로=1달러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로화 약세는 유럽지역의 경기 반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겠지만 글로벌 환율전쟁 격화로 한국은행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고 박 연구원은 지적했다. 그는 "유로화 약세는 국내 수출경기에 부담일 수밖에 없어 원/유로 환율의 추가 하락 압력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유로화의 약세폭 확대는 국내의 대EU 수출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높다. 박 연구원은 "유로 약세가 본격화된 이후 국내의 대EU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1월 23%, 2월 30.7% 씩 급락 추세를 기록 중"이라며 "대EU 수출 급감이 일시적 현상인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하지만 유로화 약세 현상이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글로벌 환율전쟁으로 국내 통화정책을 결정짓는 금융통화위원회의 선택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박 연구원은 "12일 개최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정책금리 인하가 단행될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고 내다봤다.




이장현 기자 insid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