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원전' 월성 1호기 수명연장 결정 또 미뤄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설계수명이 지난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 계속운전 허가 심의가 또다시 연기됐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2일 제34회 전체회의를 열고 원자력발전소 월성 1호기의 계속운전 허가에 대해 심의를 하기로 했지만 원전 안전성을 놓고 위원들간 이견을 좁히지 못해 차기회의에서 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월성 1호기는 전력생산규모 67만9000㎾로 지난 1983년 4월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지난 2012년 30년 설계수명을 다해 가동이 중단됐다. 이에 한수원이 2009년 12월 운전기간을 10년 연장하는 계속운전을 신청했다. 그 이후 원안위는 62개월이라는 장기간 심사를 진행했었다.

안전성 평가와 관련해 작년 10월 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서 안전성에 대한 심사를 완료한 후, 원안위 원자력안전전문위에서도 재차 월성1호기 안전성을 확인했다.

하지만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보다 강화된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지난 2013년 한수원이 스트레스테스트를 추가로 수행했고, 민간 합동검증단이 다시 이를 검증했다. 원자력안전전문위에서 이 검증결과를 심의해 모두 19건의 개선사항을 도출했다.하지만 이 과정에서 월성 1호기 계속운전에 대한 찬반이 팽팽히 엇갈렸다. 계속운전 찬성측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계속운전 심사결과'에서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결론 내린 점과 한수원이 재가동을 위한 설비투자 등에 이미 5600여억원을 투입한 점, 영구정지 결정시 전력수급 문제 등을 거론하며 계속운전 허가를 주장하고 있다.

반면 반대측은 지역 주민의 반발과 1호기 스트레스테스트 전문가검증단 보고서에서 민간검증단이 '계속 운전 시 안전성 보장이 어렵다'며 안전 개선사항을 제시한 점 등을 재가동 반대 근거로 내세워왔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