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올해 390개 '사회적경제기업' 만든다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164억원을 투입해 390개의 사회적 경제기업을 발굴한다. 도는 이를 통해 모두 2200여개의 일자리를 새로 만들 계획이다.

사회적 경제기업은 '공익적 목적을 갖는 경제 사업 조직'으로 일반 기업과 달리 이윤 극대화보다 사회적, 공익적 목적 실현을 위해 이윤의 대부분을 재투자하는 기업을 말한다. 국내에는 마을기업,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경기도는 22일 '사회적 경제 허브 구축과 사회적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한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도는 이를 추진하기 위한 4대 전략으로 ▲사회적 경제 통합 지원체계 마련 ▲지속성장 기업육성 맞춤 지원 ▲시장조성ㆍ판로 개척 촉진 ▲거버넌스ㆍ네트워크 강화 등을 정했다.

앞서 남경필 경기지사는 2015년을 경기도의 미래를 만드는 '넥스트(NEXT) 경기 원년'으로 선포하고 사회적 경제 개념을 결합한 '따뜻하고 복된 공동체'(따복공동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도는 오는 27일 수원 파장동 인재개발원 다산홀에서 시·군 담당공무원, 사회적 경제 기업인 등 200여명이 참여하는 '사회적 경제 허브, 경기도 2015 추진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