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보안 전담기구 첫 首長 누가될까?

공모 접수 15일까지 연장…전문성ㆍ관리 능력 중요 잣대될듯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금융보안연구원ㆍ금융결제원ㆍ코스콤 등에 흩어져 있던 금융전산보안 기능을 한 곳에 모아 출범하는 '금융보안원' 초대 원장에 누가 선임될지에 금융권과 관련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달 25일까지였던 원장 공모 기간이 20일 연장되면서 새로운 인물들이 후보군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다만, 여러 조직의 인력이 뭉치는 만큼 원장 선임에는 보안 전문성과 함께 조직관리 능력이 중요한 잣대가 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보안전담기구 초대원장후보추천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오는 15일까지 지원자들의 접수를 받아 서면 심사 후 면접에 참여할 후보군을 선정할 계획이다. 면접을 거쳐 1명의 후보가 선정되면 사원총회에서 정식 선임 절차를 거치게 된다. 금융전산보안 전담기구 설립사무국에서는 사원총회를 12월말 또는 1월초로 예상하고 있다.금융회사 임원, 교수, 금융보안 전문가 등 8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중립성과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심사가 끝나기 전까지 지원자에 대해 공개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웠다. 다만 김영린 현 금융보안연구원장, 곽창규 전 원장 등이 지원서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눈길을 끄는 것은 위원회가 공모 기간을 연장한 사유다. 설립사무국 관계자는 "지난달 25일까지 접수를 받은 결과 지원자가 상당히 적었다"며 "다른 기관의 사례를 봤을 때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여기서 다른 기관은 IT보안 전담기구인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다. 위원회가 접수 결과에 대한 보고를 받고, 2010년과 2012년 KISA 원장 공모에서 지원자가 적어 접수 기간을 연장한 사례가 있다는 점을 들어 이번에도 시간을 두고 더 받아보기로 결정했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공모 기간을 연장한 것을 두고 내정된 낙하산이 없을 것이라는 낙관론과 KISA 경우를 봤을 때 느닷없이 권력의 지원을 받는 누군가가 등장할 수 있다는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실제로 위원회가 근거로 삼은 KISA 사례에서 2010년 선임된 서종렬 전 원장은 대통령직 인수위 출신이었고 결국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사임했다. 2012년 선임된 이기주 전 원장은 방통위 상임위원으로 옮기면서 임기를 채우지 못했으며 현재 원장도 청와대 비서관 출신이었다는 점 때문에 낙하산 논란이 있었다.지금까지 금융보안원 초대 원장으로는 김영린 금융보안연구원장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에서 감독서비스총괄국장, 거시감독국장, 부원장보 등을 역임하면서 IT를 비롯해 거시, 제재, 국제 등 주요 업무를 두루 경험한 전문성과 지난 4월 취임 이후 전담기구 설립까지 연구원을 원활하게 이끌어온 관리 능력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다만, 공모 기간이 연장된 후 최근 은행권에서 논란이 일었던 '내정설'까지 모두 현실이 되면서 초대 원장 자리도 향방을 가늠할 수 없게 됐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보안원은 최근 빈번하게 발생한 각종 금융권 보안사고에 대한 대안으로 설립되는 만큼 금융과 IT에 대한 전문성과 함께 금융당국, 금융회사 등을 모두 아우르는 조정자 역할을 할 수 있는 인물이 선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