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거래량, 한달만에 40% 급감

10월엔 1만건 넘어서며 '반짝' 급증
11월 하루평균 20% 줄며 '급랭' 분위기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폭발적으로 늘어나던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이 이달 들어 40% 가까이 급감했다. 주택 시장이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정부의 진단과는 정반대다.특히 '9·1부동산 대책'의 최고 수혜지역으로 꼽혔던 강남구와 양천구에서 거래량 감소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25일 오전 현재 1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총 6788건으로 지난달 1만905건에 비해 37.8%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거래건수도 10월 352건에서 11월 현재 283건으로 19.6% 감소했다. 현 추세대로라면 이달 말까지 거래량은 전월대비 20%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이같은 거래 규모는 예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지난해 11월 서울의 아파트 거래건수는 7447건, 일 평균 거래건수는 248건이었다.

하지만 올 하반기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규제 완화 조치로 시장이 활기를 보이면서 한달 전인 10월에는 거래량이 2008년 4월 이후 처음으로 1만건을 넘어서는 등 분위기가 크게 호전됐던 터라 11월 거래량만 놓고 볼 때 급랭 분위기로 돌아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역별로는 양천구의 아파트 거래량이 이달 들어 256건에 불과해 한달 전 569건에 비해 55.0%나 줄어들며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마포구 역시 거래량이 지난달 452건에서 11월 208건으로 54.0% 줄었다.

강남구의 거래량은 435건으로 전월대비 45.1% 줄었고, 구로구가 44.3% 감소한 291건, 도봉구는 44.2% 감소한 285건, 중랑구는 43.4% 감소한 232건, 성동구 42.6% 감소한 249건 등의 순이었다.

그나마 관악구가 19.0% 감소한 265건, 강북구가 8.5% 감소한 151건으로 비교적 감소폭이 적은 편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조치 이후 재건축 단지 등을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하는 듯 했으나 부동산 활성화 법안들의 국회 입법이 지연되는 등 후속 조치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꺾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원갑 국민은행 수석 부동산전문위원은 "9~10월 가을 이사철과 맞물리면서 전세난에 쫓기던 실수요자들을 중심으로 거래가 반짝 급증했지만, 단기간 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이 높아지고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는 줄어들면서 시장이 냉랭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은 "그나마 남아 있던 투자수요가 지나치게 분양시장으로만 쏠리면서 매매시장을 받쳐주지 못했다"며 "연말까지 거래량이 증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라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