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되면…금융시장엔 大사건

거래 수요 창출이 관건

[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조은임 기자]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개설되면 중국과의 금융거래가 한결 수월해져 중국과의 무역이 활발해지고, 우리 금융시장도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게 된다. 다만 시장이 활발해져 긍정적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해결돼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우리나라와 중국의 교역 규모는 2288억달러 수준이다. 우리나라 전체 무역의 약 25%를 차지한다. 미국(1035억달러), 일본(946억달러)과의 교역 규모를 합친 것보다 많다. 이런 중국과의 무역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있다. 미국 달러화다.

현재도 개인이 환전을 위해 은행에 가면 위안화를 바로 바꿔주지만 은행들은 두 번의 단계를 거쳐야 위안화 환전이 가능하다. 원화를 달러화로 바꾸고, 이를 다시 다른 나라에 있는 외환시장에서 위안화로 바꿔서 환전해주는 것이다. 원화를 달러화로, 달러화를 다시 위안화로 바꾸면서 두 번의 수수료가 필요하고, 절차도 복잡하다.

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생기면 이런 번거로움이 사라진다. 은행들이 달러 없이 위안화를 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안화를 자유롭게 사들일 수 있으면 중국과의 무역거래가 한결 쉬워지고, 환전에 따른 수수료 부담도 줄어든다.여기에 덧붙여 달러화 변동에 따른 외환위험성도 줄일 수 있다. 미국이 양적완화를 추진하면서 중국과 거래를 하는 애먼 중소기업들이 상당히 애를 먹었는데 이런 걱정을 잠재울 수 있게 된다. 또 우리나라 통화가 국제적으로 통용되면서 원화의 위상을 높일 수도 있다. 안유화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거래비용, 원화시장 안정화, 원화 국제화 등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면서 "또 이를 계기로 은행이나 보험사들이 위안화 표시 금융상품을 만들어 내면서 새로운 수익창출의 기회로 만들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에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셈이다. 그러나 문제는 있다. 이처럼 효과가 좋았다면 당연히 수년 전부터 생겼어야 마땅하지만 지금까지도 만들어지지 않은 속사정이 있다는 것이다.

먼저 거래 수요다. 시장은 사고파는 사람들이 모여 북적여야 제 기능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수요가 없으면 시장도 필요 없다. 앞서 1996년 정부는 일본 엔화 직거래 시장을 개설했지만 수요가 없는 탓에 4개월 만에 시장을 접은 바 있다. 이 같은 전철을 밟지 않아야 한다.

수요를 만들기 위해서는 투자처가 필요하다. 안 연구위원은 "위안화로 갖고 있으면 돈을 벌 수 있다는 보유 동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우리나라를 방문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도 이 점이다.

중국은 외국에 위안화적격외국인투자자(RQFII) 자격을 부여한다. 쿼터를 정해서 자국에 투자할 수 있는 규모를 제한해둔 것이다. 영국이 800억위안 규모의 RQFII을 받았고, 홍콩이 2000억위안, 대만이 500억위안의 RQFII를 받았다. 우리나라는 현재 RQFII가 없다. 시 주석이 어느 정도의 쿼터를 주느냐에 따라 위안화 거래 시장의 성패도 갈릴 수 있는 셈이다. 투자처가 생기고, 투자 상품이 생기면 자연스레 거래 수요가 늘어나 선순환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위안화 은행 예금을 하고, 위안화 계좌이체, 결제 등을 위해서는 청산결제은행을 지정 운영하는 것도 직거래 시장 개설을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세종=이윤재 기자 gal-run@asiae.co.kr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