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먼 유연근무제…근로자 16.1% 그쳐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정부가 권장한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임금근로자가 10명 중 1~2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연근무제 근로자의 36%가 임시·일용직으로 파악돼 일자리의 질을 높이는 것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유연근무제 활용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0월을 기준으로 한 전체 임금근로자 1848만9000명 중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임금근로자는 297만명(16.1%)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3월(13.4%) 대비로는 소폭 늘어난 수치다. 박근혜정부의 시간제일자리 장려정책이 적극 추진되며 유연근무제 활용자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유연근무제란 근로자와 사업주가 근무시간이나 장소를 선택ㆍ조정하는 제도를 말한다. 시간제일자리 외에도 시차출퇴근제, 선택적근무시간제, 재택근무제, 탄력근무제 등이 포함된다.

성별로는 남자 11.2%, 여자 22.5%로 육아부담이 상대적으로 큰 여자들의 유연근무제 활용비율이 남자보다 11.3%포인트 높았다.

연령 계층별로는 60세 이상이 전체의 33.7%로 가장 많았고, 이어 15~20세(19.4%), 50~59세(15.2%) 순이었다. 단 육아부담이 큰 30~39세의 경우 11.2%에 불과했다. 혼인 상태별로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을 살펴보면 미혼이 16.8%로, 기혼(15.8%)보다 높았다.종사상지위별로는 전체의 35.8%인 6614명이 임시, 일용근로자였다. 상용근로자는 10명 중 6~7명 꼴에 그쳤다.

특히 유연근무제를 활용 중인 근로자 10명 중 6~7명은 시간제일자리(66.7%)로 근무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시차출퇴근제는 12.1%, 선택근무시간제는 8.4%에 그쳤다. 시간제근로제는 주당 근무시간이 30시간 이하로 파트타이머, 아르바이트, 일용직 등을 포함한다. 시간제근로제를 활용 중인 임금근로자 중 임시, 일용직 비중은 81.9%에 달해 일자리의 질을 높이는 게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연근무제 활용 유형

유연근무제 활용 유형

원본보기 아이콘

이와 함께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지 않고 있는 임금근로자 중 향후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싶어하는 근로자는 38.1%로 나타났다. 희망 유형별로는 선택적 근무시간제가 28.4%로 가장 높았고, 탄력적 근무제(24.1%), 시차출퇴근제(18.4%)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자는 35.9%, 여자는 41.5%가 향후 유연근무를 희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남녀 모두 선택적 근무시간제를 가장 많이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연령계층별로는 15~29세와 30대의 절반 가까이가 유연근무제를 원하고, 60대 이상은 19.0%였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작년 10월을 기준으로 한 비취업자 1667만3000명 중 시간제근로 일자리가 있다면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은 185만7000명(11.1%)으로 나타났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