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먹 쥐면 화면 이동…ETRI '웨어러블 동작 기술' 개발

손가락과 팔의 움직임 이용한 제스처로 화면제어
스마트워치 사용성 개선할 수 있는 인터랙션 기술
6.4 지방선거 개표방송시 지상파TV통해 첫 선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시계 하나만 차고 있으면 간단한 손 동작 만으로도 화면을 움직이거나 스마트폰 제어를 가능케 하는 길이 열렸다. 주먹을 쥐고 펴는 동작만으로 화면을 선택할 수 있고, 주먹을 쥐고 손을 위 아래로 움직이면 선택된 화면이 이동하거나 TV, 스마트폰 소리까지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에 전화가 오면 손을 쥐어서 전화를 받는다. 전화를 받기 어려울 때는 가볍게 두 번 쥐었다 펴서 거절한다. 양손을 모으면 화면이 모이고 다시 손을 펼치면 화면이 전개된다.위의 사례는 국내 연구진이 ‘웨어러블 제스처 인식기술’을 활용해 개발한 기술이다. 본 기술은 향후 웨어러블 기기의 제어나 스마트 워치 등에 적용돼 우리의 생활을 획기적으로 전환시킬 전망이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1일, 손가락과 팔의 움직임을 이용해 제스처를 입력하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손 동작 인식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손쉽게 상호작용한다는 것이다.

본 기술은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스마트 워치에 바로 적용이 가능해 사용성을 크게 개선할 전망이다. ETRI가 개발한 웨어러블 제스처 기술은 카메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 데이터 자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행동을 추적, 콘텐츠와 연결해 언제 어디서나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향후 인증기능만 추가 한다면 자동차나 집의 보안키에서도 간단한 제스처 만으로도 쉽게 문을 열수 있게 될 전망이다.

본 기술의 원리는 간단하다. 연구진은 손가락을 펼 때 손목에 있는 힘줄의 변화에 착안했다. 즉 손을 쥐고 펼 때 힘줄이 변화하는 모습에 적외선 광을 쏘아 돌아오는 광신호를 센서가 수신하는 것이다. 이를 알고리즘화 해 마우스가 마치 클릭과 해제 하듯이 적용했다.

ETRI는 이 기술을 오는 6.4 지방선거 선거개표 방송시 지상파TV를 통해서도 첫 선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미래창조과학부의 '형태변형이 가능하고 신체 탈착이 편리한 착용형 디바이스 및 UI·UX 기술 개발'과제의 일환으로 본 기술을 개발했으며 현재 ▲형태변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변형을 이용한 UI·UX 기술 ▲스마트 기기 및 IoT 디바이스 연동 서비스 등의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을 추가 개발 중에 있다.

ETRI는 본 기술이 향후 스마트워치 등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해 관련기관과 공동연구도 수행중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스마트 밴드, 스마트폰 제조사 등에도 기술이전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책임자인 ETRI 실감UI·UX연구실 정현태 실장은 "현재 스마트워치는 차별성이 부족하고 작은 화면크기와 터치 위주의 입력 방법으로 사용성이 떨어졌는데 ETRI 기술은 한 손으로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