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000원에 이르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0.2%p 하락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2일 '원/달러 환율 하락의 거시경제적 영향'(변양규 연구위원, 김창배 연구위원)이란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현재 원/달러 환율 하락세가 유지돼 올해 4분기 평균 환율이 1000원/달러에 이를 경우, 경제성장률이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인해 수입재 가격하락에 의한 내수 진작효과보다, 수출감소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보고서는 한국경제연구원의 분기별 거시경제모형의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금년 4분기 원/달러 환율이 1,000원/달러에 이르고 연평균 환율이 1,028.5원/달러(3.7% 하락)를 기록한다는 가정 하에 환율하락의 거시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민간소비 증가율은 0.31%p 증가 ▲설비투자는 0.34%p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출증가율(실질)은 0.46%p 감소하고 ▲수입이 0.20%p 증가해, 결국 순수출 감소로 이어짐에 따라 올해 경제성장률이 약 0.21%p 하락될 것으로 추정됐다.보고서는 원/달러 환율 하락이 내수확대 효과 보다 순수출 감소 효과를 더 크게 유발한다는 분석결과는 정부가 환율하락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
우선 정부는 환율하락이 내수활성화에 도움을 준다는 미온적 시각보다는 내수활성화를 통해 환율하락 압력을 완화하려는 적극적인 시각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현재로선 내수활성화를 위해 ▲기준금리 동결 기조 유지 ▲부동산 규제완화 확대를 통한 과도한 소비위축 차단 ▲투자활성화와 상충되는 경제민주화 관련 입법에 대한 재검토 ▲실효적 규제완화로 투자심리를 회복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언급했다.
또 기업차원에서도 ▲품질 및 브랜드 경쟁력 제고 ▲글로벌 생산비중 확대 ▲R&D 역량 강화 ▲결제통화 다변화 등 수출의 환율 민감도를 낮추기 위한 장기적인 노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