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지수형 ELS, 유럽이 대세

11월 SX5E 활용 규모 8380억원…4개월새 10배 급증

[아시아경제 이승종 기자] 해외지수형 주가연계증권(ELS)에서 유로스톡50지수(SX5E·EURO STOXX50)가 기존에 사용되던 스탠더드앤푸어스500지수(S&P500)를 빠른 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ELS 투자자들이 기초자산으로 미국보다는 유럽을 보다 선호하고 있다는 얘기다.

20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SX5E를 활용한 ELS 규모는 8380억원으로 전월(8447억원)에 이어 8000억원을 웃돌았다. 국내 ELS 시장에서 SX5E 지수의 규모는 지난 7월까지만 해도 전무했으나 8월(703억원)부터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 불과 4개월 만에 10배 이상 규모로 급증했다. 해외지수별 비중으로는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에 이어 2위다. 그동안 해외지수형 ELS의 기초자산은 주로 HSCEI와 S&P500가 쓰였다. 이들을 코스피200지수와 묶어 2지수형 혹은 3지수형 상품을 내놨다. HSCEI가 중국을 대표하고 S&P500이 미국을 대표한다고 본다면, 해외지수형 ELS는 한국·미국·중국의 독무대였던 셈이다.

유럽지수가 갑작스레 급부상한 건 기존지수 쏠림 현상에 지친 상품 개발자 및 투자자들이 새로운 지수를 찾다가 유럽에 관심을 갖게 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SX5E는 유로존의 우량기업 50개를 묶은 지수로 유럽을 대표하는 블루칩 지수다. 구체적으로 지난달 2지수형 ELS에서 'SX5E+코스피200' 규모는 2383억원으로 'HSCEI+코스피200(7759억원)'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지난 9월 4위였던 순위가 지난 10월 3위에 이어 2위까지 뛴 것. 3위는 'HSCEI+SX5E(1500억원)', 4위는 '코스피200+S&P500(1298억원)'이였다.

3지수형 ELS에서도 SX5E가 포함된 규모는 지난 8월만 해도 500억원이 채 안됐으나 9월 2641억원, 10월 5023억원, 11월 4177억원 등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유럽지수의 인기에 힘입어 해외지수형 ELS의 규모도 계속 늘어날 수 있을지 관심이다. ELS 중 해외지수 규모는 지난 2009년 상반기만 해도 1755억원 불과했지만 올 상반기에는 8512억원으로 485%가량 급증했다. 이중호 동양증권 연구원은 “발행이 증가하고 있는 SX5E 지수의 지속 확장 여부가 향후 전체 해외지수형 ELS 발행규모 증가의 중요한 키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승종 기자 hanar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